|
문 대통령과 시 주석은 지난 7월 독일 함부르크에서 열린 G20 정상회의 참석을 계기로 독일 베를린에서 정상회담을 가진 이후 별다른 교류가 없는 상황이다. 1차 정상회담 역시 사드갈등 탓에 별다른 성과가 없었다. 더구나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이 지속되는 가운데 정상간 통화접촉도 이뤄지지 못하면서 사드문제에 따른 한중 이상기류설이 끊이지 않았다. 이는 지난 9월초 북한의 제6차 핵실험 직후 문 대통령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아베 신조 일본 총리,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정상통화를 갖고 북핵 해법을 논의한 것과 뚜렷하게 대비되는 모습이었다. 특히 북핵문제 해결을 위해 중국과의 공조 및 협력이 중요하다는 점을 고려하면 아쉬운 대목이다. 문 대통령은 이와 관련, 지난 9월 미국 케이블채널인 CNN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지금은 중국이 당대회를 앞두고 있는 상황이어서 현 상황에서 사드 문제에 대한 관심을 바꾸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을 것”이라면서 “단기간에 해결할 수 있다는 생각을 가지지 않고, 차근차근 길게 내다보면서 중국과의 관계를 복원해가겠다”고 말한 바 있다.
사드문제가 풀린다면 한중 정상회담은 시기가 문제일 뿐 성사 여부는 가시권으로 접어든다. 문 대통령은 25일 중국 제19차 당대회에서 공산당 총서기로 연임된 시진핑 국가주석에게 축전을 보내 양국 정상회담의 개최를 촉구했다. 문 대통령은 축전에서 “가까운 시일 내에 다시 만나 올해 수교 25주년을 맞이한 한중 관계를 다방면에서 심화시켜 실질적인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로 발전시켜 나가면서 한반도 및 동북아 지역의 평화와 발전을 위해 긴밀히 협력하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사실상 한중 정상회담 개최를 제안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제 공은 시 주석에게로 넘어갔다. 일각에서는 11월 베트남과 필리핀에서 각각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또는 아세안+3 정상회의를 계기로 양국 정상의 깜짝 만남이 성사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와 관련, “방중 시기를 예측하는 건 섣부르다”면서도 “중국 당대회가 마무리되면서 어떻게 가시화될지는 지켜봐야 한다”고 신중한 반응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