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업 4일째...물동량 20%수준으로 감축
화물연대의 집단운송 거부가 사흘째 이어진 15일, 정상 운행에 나선 부산항 컨테이너 차량은 468대에 불과해 평소 가동률의 20% 수준에 불과했다.
이 가운데는 군 컨테이너 차량 82대가 포함돼 있어 실제 운송거부에 나선 화물차는 화물연대 소속 차량 960여 대의 3배에 이르는 2천695대 전체의 87%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된다.
특히 주말과 휴일은 평일에 비해 물동량이 절반에 그치는데도 군차량을 집중 투입해 컨테이너를 빼낸 감만부두와 신감만부두는 장치율이 여전히 100%에 육박하고 있어 월요일인 16일 최대의 위기를 맞을 것으로 보인다.
수출입 물량이 몰려들면 선박 입출항조차 어려워질 가능성도 우려되고 있다.이에 따라 일부 수출화물의 선적 취소도 잇따르고 있다.
15일까지 정부집계에 따르먼 항만과 내륙 컨테이너기지의 컨테이너 반출입량은 평상시 6만7천871TEU의 22% 수준인 1만4천969TEU까지 떨어졌다.
특히 군산항은 컨테이너 반출입이 전면 중단됐고 평택ㆍ당진항과 목포항, 광양항 등은 반출입량이 10% 아래로 떨어졌다.
◈화물주측 미온적 태도로 협상 난항
정부와 화물연대는 사태해결을 위해 15일밤 두번째 협상테이블에 앉았지만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최저임금제인 표준요율제 도입과 화물운송시장 구조개편, 화물운송료 현실화 문제 등이 주 의제로 올랐다.
양측은 표준요율제 도입에는 합의했지만, 화주가 이를 어길 경우 처벌하는 방안과 도입시기 등을 놓고 이견을 보인 것으로 전해졌다.
운송료 인상과 관련해서는 정부의 거듭된 설득에도 불구하고,화주들이 미온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어 사태 해결을 어렵게 하고 있다.
화물연대는 운송료가 30%는 인상돼야 한다는 입장인 반면 화주와 물류업체는 10% 안팎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화물연대는 화주와 직접 교섭을 요구하고 있지만 화주측은 화물연대는 운송업체와 협상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화물연대와 컨테이너 운송사업자 연합회가 16일 오후 2시에 운송료 인상을 놓고 본격적인 협상을 벌이기로 했다. 이어 정부와 화물연대도 저녁 7시에 다시 협상을 벌이기로 했다. 16일 협상이 사태 해결 여부를 가리는 최대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양대 노총 건설기계노조도 파업 돌입
엎친 데 덮친 격으로 16일 새벽부터 민주노총과 한국노총 소속 건설기계노조원들도 파업에 들어갔다.
민주노총 산하 건설노조(전국건설노동조합 건설기계분과)는 15일밤 정부와의 협상이 결렬됨에 따라 예정대로 16일 0시부터 파업에 돌입했다.
건설노조는 "차량상경투쟁지침은 철회하기로 했으나 전체조합원은 예정대로 16일 0시부터 대중교통을 이용해 중앙상경투쟁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건설노조는 산하에 토목건축분과와 전기분과 건설기계분과 등을 두고 있으며, 전체 조합원은 2만 5천명이다. 이번 파업에는 건설기계분과만 참여한다.
건설노조의 건설기계분과는 덤프트럭과 레미콘, 굴삭기 등 27개 건설기계 운전자 1만 8천명이 가입돼 있으며,1만7천여명이 덤프트럭 운전자이다. 우리나라 전체 덤프트럭의 38%가 이 노조에 가입돼 있다.
한편 조합원이 5천명가량인 한국노총 산하 건설.기계노조도 16일부터 파업에 들어가겠다고 선언한 상태여서 양대 노총 소속 건설기계 노조의 동반 파업이 현실화될 전망이다.
건설노조는 16일 오후 1시 30분, 대학로 집회현장에서 공식 기자회견을 가질 예정이다. 건설노조는 "국토부와 17일 오전 10시 30분에 재협상을 벌이기로 했다"고 밝혔다.
◈금속노조와 택시업계도 ‘꿈틀’
화물과 건설기계에 이어 다른 업종에서도 파업분위기가 고조되고 있다. 현대.기아차노조가 소속돼 있는 금속노조는 20일 쟁의조정을 신청한 뒤 25∼26일 파업 찬반투표를 실시하고 철도노조 역시 23∼25일 파업 찬반투표에 나선다.
민주택시본부도 25일께 대규모 집회를 열고 유가 폭등에 따른 생존권 확보를 요구할 예정이다. 한마디로 화물차와 덤프트럭, 레미콘에 이어 철도와 택시까지 물류와 건설, 교통까지 3중대란 우려가 현실화되고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