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선 `70%`라는 숫자는 미국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대비 우리나라의 1인당 GDP 비율로, 이 부의장은 이를 `추격지수`라고 부른다. 이 부의장은 “일본은 과거 2000년 초에 이미 미국 1인당 GDP의 70%를 넘어섰는데, 지금까지도 그 수준에 머물러 있다”면서 “2000년만 해도 미국의 45.9%였다가 작년에 역대 처음으로 70%를 넘었던 우리나라도 국제통화기금(IMF) 전망치 기준으로 올해와 내년 연속으로 다시 70% 아래로 내려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우리는 20년 격차를 두고 일본과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는데, GDP 기준이긴 해도 중국은 미국의 70%까지 따라간 뒤 잠시 주춤했지만 코로나19 이후 다시 75%까지 올라왔다”고 지적했다.
`2%`라는 수치는 우리나라 GDP가 세계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율인데, 이 역시 2005년에 처음으로 2%를 넘어서며 세계 10대 경제대국에 들어간 이후 한참 밀려났고 지난해가 돼서야 2%를 겨우 회복했다. 이 부의장은 “작년 우리가 10위에 들어간 것에 고무돼 있지만, 사실 이는 15년 간 10위권 밖으로 튕겨난 뒤 다시 10위에 오른 것일 뿐”이라며 “미국 대비 70%, 세계 경제 대비 2%라는 이 두 가지 벽을 확실히 넘어서야 일본을 분명하게 추월할 수 있고 최소한 독일 수준까지 갈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팬데믹 이후 국내외에서 내구성 소비재 수요가 늘면서 국내 대기업 제조업의 성과는 좋은 편”이라며 “그렇게 본다면 우리 제조업은 새로운 사업을 통한 혁신이나 탄소중립 등에 대응할 수 있는 실탄은 어느 정도 갖고 있는 셈”이라고 봤다. 또 “사실 탄소중립과 같은 이슈는 우리 제조업에도 굉장히 큰 도전이긴 하지만, 미국과 유럽 몇몇 선진국을 제외하고는 이런 탄소중립 기술을 개발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나라가 우리라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