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역 경제를 떠받쳤던 ‘알짜배기’ 성동조선해양이 내리막길을 걷기 시작한 건 2008년 금융위기 직격탄을 맞고서다. 근본적인 이유는 중국 조선업체들의 거센 추격. 기술력이 높지 않은 성동조선은 그 파고를 버텨내지 못했다.
그렇게 2010년 채권단의 공동관리(자율협약) 하에 들어갔고 4조원이 넘는 사실상 공적자금이 투입됐다. 결과는 어땠나. 지난해 3월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에 돌입했고 지금은 파산의 기로에 서있다. 법원의 회생계획안 가결 기간인 오는 10월 18일까지, 앞으로 넉 달이 성동조선의 운명을 결정지을 마지막 순간이다.
법원이 파산 결정을 내리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 이렇게 회생절차가 폐지되면 채권 동결 조치가 무효화되는 만큼 모든 채권자는 성동조선 자산(부동산, 토지, 도크, 기계류 등)에 대해 압류·추심에 들어간다. 법원의 우산이 사라지는 만큼 ‘아수라장’ ‘무법천지’가 될 수 있는 것이다. 선순위가 있든 말든 자산에 딱지부터 붙이는 상황이 벌어질 수 있어서다. 또다른 금융권 인사는 “법원이 이런 아비규환을 막기 위해서라도 파산 선고를 통해 질서있게 마무리할 것으로 본다”고 했다.
그럼에도 중소형 조선사들의 경쟁력 저하가 뚜렷한 만큼 인공호흡기를 또 대주는 건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이 더 우세하다. 수은이 영국의 국제 조선·해운시황 분석기관인 클락슨의 통계를 추정한 결과를 보면 올해 1분기 국내 중형 조선사들의 수주액은 1억6000만달러로 국내 전체 수주액의 2.9%를 기록했다. 전년 동기(4.5%) 대비 하락한 수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