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이성기 기자] 부동산 시장 침체로 수도권에서도 미분양 주택이 속출하는데 분양가는 꾸준히 오르는 현상이 빚어지고 있다. 원자재 값과 인건비, 땅값 상승세를 반영해 분양가를 책정한 데 따른 것인데 건설업계에서는 청약 수요가 줄어들면서 미분양이 다시 늘어나는 악순환이 벌어질까 우려하고 있다.
1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9월까지 전국 아파트 분양가는 3.3㎡(1평)당 평균 1458만원으로 지난해 평균 분양가(1320만원)보다 10.4%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 1월부터 9월까지의 분양가(1296만원)와 비교하면 상승폭은 12.5%까지 커진다. 올해 말까지 추산한 평균 분양가는 1443만원으로 조사를 시작한 2000년 이후 역대 처음으로 1400만원대를 돌파할 전망이다.
| [그래픽=이데일리 이미나 기자] |
|
분양가 상승폭은 더 커질 전망이다. 잇단 금리 인상과 인플레이션으로 아파트 분양가 산정의 기준이 되는 `기본형 건축비`가 올해에만 세 차례 인상됐고 추가 인상 가능성까지 떠올랐기 때문이다. 국토교통부는 기본형 건축비를 지난 3월에 2.64%, 7월에 1.53% 인상한 뒤 지난 9월 2.53% 추가 인상했다.
이런 상황에 미분양 주택은 계속 늘고 있다. 세종시를 제외한 지방의 모든 규제 지역이 해제된 만큼, 사실상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만 규제 지역으로 남아 있지만 미분양 증가세를 꺾지는 못하는 형편이다.
국토부에 따르면 9월 말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은 4만1604가구로 전월(3만2722가구) 대비 8882가구(27.1%) 늘었다. 지방보다 수도권에서 미분양 증가 폭이 컸다. 지방은 2만7710가구에서 3만3791가구로 21.9%(6081가구) 증가했지만 수도권은 5012가구에서 7813가구로 55.9%(2801가구) 확대됐다.
| [그래픽=이데일리 이미나 기자] |
|
분양가 상승이 청약 성적 저조로 이어져 미분양이 발생하면 가뜩이나 `돈맥경화`에 처한 건설사들은 자금 회수가 어려워지고 자칫 유동성 위기에 몰릴 수도 있다. 그렇다고 금융 부담 가중 탓에 분양을 마냥 미룰 수도 없는 형편이다. 그동안 오랜 시간 뜸 들여온 서울 주요 단지가 분양에 나서고 규제가 풀린 지방에서도 공급이 예고돼 이달 전국에서는 83곳·7만 651가구(임대 포함, 오피스텔 제외, 1순위 청약 기준)를 공급할 예정이다. 이 중 일반 분양 물량은 5만 9565가구로 지난달(1만 9381가구) 대비 약 3배가 늘어난 수치다.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미분양이 늘어나면 조합뿐 아니라 시공사에 문제가 전이될 수 있는 상황이라 분양 전략을 세우는 데 고심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똘똘한 한 채` 선호 현상 등 청약시장 양극화도 당분간 지속할 것으로 보인다. 권일 부동산인포 리서치팀장은 “시멘트 등의 원자재값은 물론 인건비까지 각 분야의 인플레이션으로 공사비가 크게 상승하면서 분양가가 빠르게 오르기 시작했고 추가 인상 가능성도 있다”며 “분양가 상한제를 적용하는 택지지구와 신도시 등이 앞으로의 청약 시장을 주도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전국에서 미분양 주택이 속출하는데 원자재 값과 인건비 상승 등으로 인해 분양가는 꾸준히 오르는 현상이 빚어지고 있다. 1일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시내 아파트 단지. (사진=연합뉴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