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데일리 김정남 김정현 기자] “정부는 기업들이 국내로 돌아올 수 있도록 특단의 대책을 고민해야 합니다.”
국내 경제학계를 대표하는 한국경제학회의 차기 회장으로 선출된 김경수(65) 성균관대 교수는 지난 5일 서울 성균관대 집무실에서 이데일리와 인터뷰를 갖고 “정부가 지난 2013년 이른바 ‘유턴기업법’을 시행했지만 4년간 42개사만 돌아왔다”며 이렇게 말했다. 유턴기업은 값 싼 인건비를 좇아 해외로 진출한 뒤 국내로 회귀하는 기업을 말한다.
김 교수는 “기업이 해외로 진출한다면 기업의 소득은 증가하는데 노동자의 경우 현지인의 소득이 늘어난 것”이라며 “이는 우리나라 가계소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심각한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는 해외와는 사정이 다소 다르다. 미국의 경우 2010년 이후 7년간 유턴기업에 외국인 투자기업(해외→미국)까지 더한 회사가 2232개에 달한다. 우리나라와 달리 유턴기업의 개념에 해외법인의 청산·축소 의무는 없지만, 상대적으로 기업 투자가 활발하다는 해석은 가능하다.
김 교수는 “정부가 법인세를 올린 건 이제 어쩔 수 없어도 다른 쪽에서 파격적인 정책을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세금 감면, 보조금 지원 등을 넘어 정책의 틀 자체를 기업에 우호적으로 바꿔야 한다는 쓴소리로 읽힌다.
그는 “하지만 우리나라는 대형마트가 들어오면 영업을 규제하는 식”이라며 “(미국의 혁신 문화가) 우리로서는 참 부러운 일”이라고 했다.
그는 그러면서 “최근 기술기업을 중심으로 산업 구조조정이 무섭게 일어나는 만큼 정부는 (미국처럼) 경제 유연성을 높이는 정책을 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