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 문 대통령이 처한 대내외적 환경은 녹록지 않았다. 국제사회의 거듭된 경고에도 아랑곳없이 북한은 핵·미사일 도발을 감행하면서 한반도 안보위기는 최고조로 올라갔다. 국내에서는 코리아 패싱(한반도 문제 해결에서 대한민국 소외 현상)이라는 비판론이 끊이지 않았다. 더구나 새 정부 출범 초기 한미관계에 비상등이 켜졌다는 지적도 적지 않았다. 특히 사드(THAAD,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를 둘러싼 갈등으로 최악으로 내몰린 중국과의 관계도 뇌관이었다. 남북관계도 쉽지 않았다. 핵심 대북구상이었던 베를린구상마저 북한의 무시와 통미봉남 전략 탓에 빛을 잃었다.
문 대통령은 차근차근 문제를 풀어나갔다. 한반도 주변 4강과의 관계에서 한반도 운전자론을 내세우면서 기회 있을 때마다 한반도 전쟁불가론을 못박았다. 특히 한미동맹 강화는 문 대통령이 외교안보 분야에서 가장 역점을 둔 과제였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세 차례 정상회담을 통해 한때 불거졌던 한미간 이상기류론을 불식시키고 북핵문제의 평화적·외교적 해결 원칙에 합의한 것은 최대 성과다. 또 미사일 탄두중량 제한 해제에 합의한 것도 빼놓을 수 없는 대목이다.
대일 관계에서도 위기의 조짐이 엿보인다. 위안부 TF가 박근혜 정권에서 이뤄졌던 한일 위안부 합의의 정당성을 문제 삼으면서 국내에서는 폐기 목소리가 높다. 그러나 일본은 위안부 합의의 이행을 종용하고 있어 한일 양국간 새로운 뇌관으로 남게 됐다. 위안부 TF가 일본 정부와의 비공개 합의까지 공개하면서 더욱더 난항이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