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화도 개봉 전 예매를 통해 흥행의 첫 스코어가 결정된다. 이변이 없는 한 개봉 전날 예매율 1위는 개봉 날 박스오피스 1위로 직행한다. 영화의 흥행과 극장매출, 관객의 선택 등에 큰 영향을 미치는 예매율을 영화진흥위원회는 통합전산망을 통해 실시간으로 공개하고 있다. 그렇다면 영화 예매율은 증시의 동시호가처럼 시장원리에 따른 제도라고 할 수 있을까?
최근 한국 극장가는 그야말로 헐리웃의 독무대다. 최근 개봉한 미이라, 트랜스포머, 스파이더맨은 모두 국내 1위 영화체인 CGV에서 개봉 전 예매율이 80%를 훌쩍 넘었다. 지난해말 기준 전체 한국 스크린수는 2575개인데 스파이더맨은 개봉 첫날인 5일 1703개, 트랜스포머는 1739개, 미이라는 1257개 스크린에 걸렸다. 미국에서 형편없는 평점으로 비판을 받은 미이라는 한국에서 개봉일 87만3079명이라는 신기록을 세우며 한국의 영화사를 바꿨다.
예매를 하고 싶어도 오픈이 안 돼 못하는 관객들, 개봉해도 조조나 심야에 ‘퐁당퐁당’식으로 걸려 못 보는 관객들의 수요는 어디에 반영돼 있을까. 스크린독과점의 원인이 시장에 있다고 한다면, 관객의 수요는 상당부분 배제된 시각이다. 스크린독과점이 초래하는 문제는 결국 한국 영화산업의 생존과 직결된다. 2004년 이후 한국영화의 점유율은 평균 52.6%인데 올해 현재 한국영화 점유율은 41.7%로 연간기준 최저수준이다. 헐리웃 영화에 스크린을 몰아줬지만, 증권가는 CGV가 2분기 2004년 상장이후 처음 적자를 낼 것으로 예상한다. 제작사도, 배급사도, 극장도 돈을 못 벌고 결국엔 헐리웃 자본만 돈을 버는 ‘마이너스섬’ 게임으로 흐르고 있다.
과연 영화가 제조업처럼 전문가들이 수직계열화를 통해 관리 감독한다고 될 일일까. 지금의 한국영화를 산업으로 일군 건 지금 거장으로 불리는 창작자들의 도발적인 상상력 때문 아닐까. 물론 극장이 이윤추구를 위해 상영관을 편성하는 건 자유로운 선택일 수 있다. 하지만 개봉일 예매율과 박스오피스를 영화와 관객의 ‘시장원리’라는 식의 접근만큼은 사양하고 싶다. 미국 넷플릭스의 자본으로 제작된 옥자의 개봉일 스크린 수는 94개. 실시간 예매율은 2위까지 올랐지만, 스크린은 트랜스포머의 5.4%에 불과했다. 옥자는 한국 영화시장에 질문을 던지는 것 같다. “관객들의 선택권은 어디로 갔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