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술한 외국 관광객들을 노린 바가지 상혼이 좀처럼 꺾이지 않고 있다. 나라의 이미지를 통째로 갉아먹는 처사다. 당장은 관광객들을 속여 개인 주머니를 채울 수는 있겠지만 결국 후속 방문객이 끊어지게 됨으로써 전체 밥줄을 끊어 버리는 어리석은 짓이다. 아무리 관련당국이 단속을 강화하고 업계 내부적으로도 자정 노력을 다짐하고 있으나 툭하면 바가지 시비가 불거지고 있다.
그중에서도 택시요금 횡포가 심한 편이다. 최근 부산을 찾은 어느 일본 관광객이 겪은 택시요금 시비가 하나의 사례다. 부산역에서 해운대 호텔까지 미터기로는 1만 9300원의 요금이 나왔는데 택시기사가 거기에 ‘기타요금’을 추가해 4만원을 요구했다는 것이다. 미터요금의 2배를 요구한 셈이다. 그 관광객이 여행잡지 발행인으로서 부산을 자주 찾는 사람이었기에 바가지를 모면하기는 했지만 그런 식으로 당하는 경우가 한둘이 아닐 것이다.
지난달 인천공항에서 강원도 태백까지 콜밴을 이용했다가 70만원의 요금을 지불한 어느 캐나다인의 경우는 더욱 황당하다. 중국이나 일본을 여행하는 비행기 왕복요금을 낸 것이다. 제대로는 290㎞ 안팎인 거리를 일부러 강릉으로 우회해 430㎞를 달렸다는 것부터가 의도적이었다. 이밖에 인천공항에서 송도까지 태워주고 평소 운임의 5배인 12만원을 챙겼다가 경찰에 입건된 경우도 없지 않다.
이제는 관광 정보가 대부분 공유되고 있기 때문에 함부로 바가지를 씌우려 했다가는 오히려 당하기 십상이라는 점을 깨달아야 한다. 그나마 쇼핑상가의 물건들은 대체로 가격 딱지가 붙여져 흥정 시비가 크게 줄었지만 택시요금에 있어서는 아직도 걸핏하면 바가지다. 그러나 앞서 부산 승객의 경우처럼 바가지요금 영수증을 페이스북에 그대로 게시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나라 망신만 사고 말았다.
이제는 ‘3진아웃’ 단속 정책으로는 한계에 이른 것 같다. 안된 얘기지만 적발되는 대로 면허를 취소하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보여줘야 한다. 바가지 요금이 적발될 경우 그 몇 배에 해당하는 벌금을 부과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말로는 서비스 정신을 발휘한다고 내세우면서도 속으로는 바가지 씌울 궁리만 하는 사람들을 마냥 보호해 줄 수는 없는 노릇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