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만 남성들이 여전히 ‘눈치 보고’ 육아휴직을 쓰는 상황에서 휴직급여를 높이는 것만으로 활용도를 높이는 것은 힘들다는 지적이 나온다.
|
지난해 도입된 3+3 부모육아휴직제는 자녀 나이가 생후 12개월 이내일 때 부모가 동시나 차례로 육아휴직을 사용하면 첫 3개월에 대해 부모 각각의 육아휴직급여를 통상임금의 100%로 지급하는 제도다.
각각의 통상임금이 450만원이 넘는 맞벌이 부부가 함께 육아휴직을 쓴다면 첫 달엔 200만원씩 400만원, 둘째 달엔 합쳐서 500만원, 6개월째엔 900만원을 받는 등 6개월간 총 3900만원의 급여를 받게 된다. 7개월째부터는 통상임금의 80%, 월 상한액 150만원의 일반 육아휴직급여를 받는다.
고용부는 이번 제도 개선을 통해 남성의 육아휴직 활용이 높아져 부모 맞돌봄 문화가 확산할 것으로 기대했다. 지난해 육아휴직을 사용한 남성 근로자는 전체 육아휴직자의 28.9%에 불과했다. 2016년(8.5%)에 비해 3배 이상 늘었지만, 아직 우리 사회에서 육아휴직은 남성들에겐 높은 벽이다.
실제로 다른 나라와 비교해봐도 여전히 남성들의 육아휴직 사용률은 낮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2021년 기준 덴마크, 아이슬란드, 노르웨이, 포르투갈, 스웨덴에서는 육아휴직자의 45% 이상이 남성이었다. 룩셈부르크의 경우 남성의 육아휴직 비율이 53%로 여성보다 높았다. 이외에 미국, 에스토니아, 벨기에, 핀란드, 아일랜드, 독일 등도 남성 육아휴직자 비율이 우리보다 높다.
전체 육아휴직급여의 소득대체율을 높아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지난해 국회입법조사처는 ‘육아휴직 소득대체율의 효과’ 보고서를 통해 “현 육아휴직급여(통상임금의 80%, 상한 150만 원·하한 70만 원)의 소득대체율을 상향해 저소득층의 급여 감소 타격을 완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