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6일 정부와 국회예산정책처에 따르면 올해 발행되는 지역사랑상품권은 지난 2018년 대비 1515.5% 급증한 6조원이 된다. 더구나 보건복지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아동수당·저소득층·노인일자리 등 3대 쿠폰까지 지역사랑상품권으로 발행할 경우 발행액은 최대 8조원에 이를 수도 있다. 지역사랑상품권에 대한 정부지원액도 2018년 최초로 100억원 편성된 이래 작년까지 2년간 국비지원액만 984억원을 넘었다. 특히 올해는 정부지원액이 3513억원으로 2018년에 비해 341.3%나 늘어나게 된다.
문제는 중앙정부와 달리 재정이 취약한 지자체에게 더 큰 부담이 된다는 점이다. 정부지원액이 2년새 3배 이상 늘었지만 발행액은 15배 이상 늘면서 모자라는 부분을 고스란히 지자체가 자체 재정으로 부담해야한다.
즉, 6조원의 6%인 3600억원의 발행비용은 지자체가 내야 한다. 게다가 부정수급 단속과 홍보 등 추가 비용도 발생해 재정력이 높지 않은 지자체 입장에서는 부담이 적지 않다. 다만 행안부는 발행수수료가 지자체 별로 1~3% 상이해 실제 기타경비는 이보다 적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코로나19 방역 차원에서 사회적 거리 두기가 중요해지는 가운데 지역사랑상품권은 대면해서만 쓸 수 있다는 점도 문제로 지적된다. 현재 한국조폐공사는 지역사랑상품권을 온라인 상에서 쓸 수 있도록 자체 앱으로 상품권 통합관리서비스를 제공하지만 현재 이를 활용하는 지자체는 6곳 뿐이다. 그러나 인천시처럼 인천e음 카드로 온라인 쇼핑몰이자 지역 중소기업이 입점한 인천e몰에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만큼 비대면 방식의 온라인 상거래 플랫폼 구축이 시급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고기동 행안부 지역경제지원관은 “추경으로 지역사랑상품권 추가 발행 계획을 세우면서 지자체별로 수요를 조사했는데 그 때 추가 발행 희망액이 4조5000억원이나 됐다”며 “현 소비가 최소한 유지라도 돼야 경제가 돌아가는 상황인 만큼 지역 소상공인들이 최소한 자금을 운용할 수 있도록 돕는 게 상품권”이라고 설명했다. 또 “상품권을 통한 소비 진작과 사회적 거리 두기가 상반되긴 하지만, 최소한의 대응이라도 해야 전통시장과 골목경제를 살릴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렇다보니 행안부는 상품권을 발행하지 않는 20개 지자체에 발행을 장려하고 있지만 한계가 있어 이미 발행을 준비하던 25곳을 대상으로 신규 발행을 장려할 방침이다. 고 지원관은 “국고보조가 특정 지자체로 쏠리는 현상을 막기 위해 광역 단위로 6000억원, 기초로는 600억원의 지원한도를 설정하고 있다”며 “지역 편차 문제는 기준에 따르고 있고 대구·경북 수요를 최우선 반영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