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송파구에서 근무하는 10년 차 김모 교사의 토로다. 김 교사는 “반성문을 쓰게 했다고 아동학대로 걸린 교사가 있었는데 이후 매일 자기검열을 하면서 소극적으로 변했다”며 “학교도 교사를 보호해주는 분위기는 아니다. 교사에게 주어지는 책임감에 비해 보호받을 울타리는 없다”고 한숨을 내쉬었다. 특히 학부모와 관련해선 아이의 문제를 자신의 문제라고 생각하고 같이 고민하는 것이 아니라 책임소재를 찾아 찾아 사과를 받으려는 일부 학부모의 문제가 크다고 지적했다.
지난 18일 서울 서초구 서이초등학교 새내기 교사가 교내에서 극단적 선택으로 사망한 사건이 교권 침해 문제를 터뜨리는 도화선이 됐다. 교사들은 해당 교사의 죽음을 애도하면서 “터질 게 터졌다”며 성토하는 분위기다. 수업과 행정업무 등 격무에 더해 학생과 학부모를 상대하는 감정노동으로 한계치에 다다랐다며 무기력함을 호소하고 있다.
|
‘교권 추락’은 어제오늘 일은 아니지만 최근 잇달아 발생한 사건들로 심각성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다. 교사들은 학생의 교육지도와 학부모의 악성민원, 현실과 맞지 않는 업무 부담 등에 둘러싸였지만 행사할 수 있는 권한은 없다고 호소하고 있다.
또다른 교사 30대 이모씨는 “작년에 ADHD가 심한 ‘금쪽이’같은 아이가 있었는데 이 아이는 ‘죽여버리겠다’, ‘X로 찌르겠다’는 괴성을 하루에도 몇 번씩 외쳤다”며 “한 번은 이 아이가 나와 둘이 있는 상황에서 문을 부수려 하고 책상을 발로 찼다. 당시 아이가 있지 않은 쪽으로 책상을 밀었는데 아이가 ‘이거 아동학대인 거 아시죠?’라고 해 순간 너무 무서웠다”고 했다. 이씨는 “이 아이는 대안학교 입학도 거절당했는데, 한 반에 6명 있는 대안학교에서도 안 되는 일을, 공교육에서 감당하라는 건 불가능하지 않나 싶었다”고 하소연했다.
|
한 교사는 악성 민원을 제기하는 학부모를 ‘달래는 일’조차 교사의 업무가 됐다고 자조했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이 지난 5월 발표한 ‘2022년도 교권 보호 및 교직 상담 활동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교총이 접수한 교권침해 상담 건수는 520건으로 6년 만에 최고 건수를 기록했다. 교권침해 주체는 ‘학부모’가 241건으로 절반에 육박하는 수준이었다.
특히 저학년 담임일수록 그 압박은 더 크다는 게 김 교사의 설명이다. 그는 “1학년의 경우 부모와 조부모까지 상대해야 한다. 공개수업을 하면 4명까지 오는 경우도 있다”며 “‘아이의 똥을 닦아달라’, ‘약 먹여줘라’, ‘내가 오늘 혼냈는데, 애 기분을 챙겨달라’는 요구도 한다. 고소나 신고가 들어가면 혼자 싸워야 한다”고 말했다.
경기도에서 근무하는 저연차 교사 B씨도 “올해 자주 싸우는 아이들이 있어 방과 후 화해시키려 상담을 했는데, 한 아이의 부모가 이걸 보고 ‘아동학대·감금’이라며 따지고 나섰다”며 “이후 내내 매일 교장과 교감에게 전화하며 나를 다른 학교로 보내라고 항의하고 있다고 한다”고 했다. 또 “마음에 안드는 아이가 있다면서 자리를 바꿔 달라고 요구하는 건 기본이고, 아이의 발표 횟수, 화장실에 가는 횟수까지 알려달라고 요구하는 부모들도 있는데 학부모가 개입하면 지도가 어렵다”며 “교보위는 학부모에게 맞거나 욕을 들었을 때만 대처할 수 있고, 악성 민원이나 전화를 받을 경우엔 별 도움이 되지 않아 교사들이 단념하는 경우가 많다”고 씁쓸해했다.
아울러 저연차 교사들에게 쏠린 업무부담도 이번 서이초 비극의 한 원인으로 꼽힌다. 고인이 맡았던 나이스(교육행정정보시스템) 관리 업무는 교사들이 기피하는 담당 업무 중 하나로 꼽힌다. 익명을 요구한 한 교사는 “서이초의 공지를 봤는데, 그래도 저연차는 강요받은 업무를 한 게 맞다고 본다”며 “강남권엔 중간 연령대 교사가 없고 나이가 있는 교사들은 특히 힘들어서 나이스 업무를 안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