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은 중장기적 관점에서 차세대 반도체 공급망에 참여해야 하는 탓에 칩4 동맹 가입에 응해야 하면서도 동시에 대중 수출 비중이 워낙 큰 만큼 우리 기업 및 국가 이익에 부합하는 실리를 찾기 위해 미국에 적극적인 목소리를 내야 한다고 조언했다.
|
“칩4 동맹, 우리가 가야 할 길…이미 영향력 크다”
칩4 동맹은 미국이 반도체 설계, 일본이 장비·소재, 우리나라와 대만이 메모리반도체와 시스템반도체 생산능력에 각각 주력하는 반도체 공급망을 구성하는 것으로 궁극적으로는 중국을 배제하는 기술 동맹으로 보는 게 옳다. 정부는 지난달 말부터 국가안전보장회의(NSC) 등에서 관련 논의를 이어오고 있지만 아직 칩4 가입 여부에 대해 명확한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다.
경희권 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칩4 동맹에 가입하지 않았지만 이미 가입한 수준의 영향을 받고 있다고 봤다. 그는 “우리 기업은 미국의 중국 내 극자외선(EUV) 노광장비 반입 금지와 관련해 이미 영향을 받고 있으며 첨단 반도체 수출 통제 정책에도 협력하고 있다고 봐야 한다”며 “미국 반도체지원법 시행으로 연방정부의 보조금 및 세제혜택을 받을 경우 향후 중국 내 유의미한 신증설 투자가 어려워 미국, 일본, 대만과 같은 노선을 걷게 되는 만큼, 칩4 동맹 가입을 언급해 중국을 자극할 필요는 없다”고 했다.
경 부연구위원은 “미국과 중국의 전략경제적인 가치 경중을 따져봐야 한다”며 “미국의 경우 차세대 반도체 기술 경쟁력과 스마트폰, 차량용 반도체 등 주요 수요산업 시장 확보의 기회가 있는 반면 중국은 우리나라 메모리반도체를 수입해 ICT 최종재를 서양에 수출하는 구조이므로 우리 주요 시장으로서의 중요성은 상대적으로 약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하기도 했다.
|
조중휘 인천대 임베디드시스템공학과 교수는 “우리 기업의 중국 내 수출 비중이 큰 만큼 칩4 가입 이후 예상되는 메모리반도체 수출 감소에 대한 대안을 미국이 제시해야 한다”며 “이는 중국 내 시장을 둔 대만도 갖고 있는 고민이며 중국이 향후 메모리반도체 기술력을 갖게 돼 우리나라 반도체 수입을 줄이게 되는 상황에서 결국 필요한 것으로 동남아시아나 중남미 등 제3의 생산기지 확보를 요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
최병덕 성균관대 전자전기공학과 교수는 향후 중국 내 첨단반도체 생산을 하지 못할 수 있는 상황에 대비하는 전략도 필요하다고 했다. 그는 “최첨단 반도체는 중국이 아닌 지역에서 생산하되 모듈 등 완제품을 중국에 수출하는 전략이 필요하다”며 “국가간 이해관계가 있겠지만 제품 판매 자체가 중국 내 기술 발전을 제한하는 칩4 동맹 취지에 영향을 미치진 않을 것이며 중국도 우리 제품을 필요로 할 수밖에 없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