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을 근원적으로 낫게 해주는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는 퓨젠바이오의 김윤수 대표는 바이오벤처가 신약개발에 성공하기 위한 필수조건으로 안정적인 매출원 확보를 첫손에 꼽는다. 퓨젠바이오는 지난 2010년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라는 균사체가 당뇨병을 근원적으로 치료하는 효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발견, 이때부터 10여년간 당뇨병 치료제 개발을 해오고 있는 바이오벤처다.
최근 바이오투자가 썰물처럼 빠져나가면서 바이오벤처마다 자금난으로 생존이 불투명해지면서 절박함을 호소하고 있다. K바이오 대부분은 신약개발만을 주력으로 사업을 벌여오다 보니 별다른 매출원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는 게 현실이다. 신약개발에 집중하는 바이벤처는 매출은 커녕 적자만 매년 수백억원씩 쌓이고 있는 경우도 많다.
이런 상황에서 바이오 투심이 얼어붙어 추가적 투자금 확보가 차단되면서 곳간이 비어가는 업체들은 부도에 직면해 있는 처지다. 이제 시장은 믿을만한 매출원을 확보하지 못하거나, 기술수출등 신약개발의 가시적 성과가 없는 바이오벤처들에게는 눈길조차 주지않는 상황이다. 신약개발이라는 미래 잠재력에 대한 고평가 시대는 끝나고, 매출이나 기술수출 등 이미 실현된 기업가치가 투자 평가의 기준이 되고있다.
|
김대표는 당뇨병 치료제 개발을 지속하면서 이 분야는 속성상 최소 10여년간 방대한 임상을 거쳐야 하기에 대규모 연구자금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러면서 그는 외부로부터 당뇨병 연구개발자금을 지속적으로 끌어들여 치료제 개발을 완성한다는 것은 성공 가능성이 지극히 낮은 위험한 비즈니스 모델이라는 결론을 내린다.
당뇨병 치료제 완성을 위해 김대표가 선택한 생존전략은 사업다각화를 통한 안정적인 ‘선매출원 확보’ 및 이를 통한 ‘지속적 치료제 개발 가능한 인프라 구축’이었다. 이 밑그림을 바탕으로 그가 신규 진출한 사업분야가 화장품 및 건강기능식품이다. 현재 퓨젠바이오는 당뇨병 치료제 개발을 주축으로 화장품, 건기식을 3대 사업 포트폴리오로 운영하고 있다. 이 3대 사업축을 관통하는 공통분모로 세리포리아 락세라타를 전방위로 활용, 회사의 핵심 경쟁력을 배가시키는 구조다.
|
“현재 전임상 단계인 당뇨병 치료제를 상업화하려면 최소 10년은 더 걸릴 듯하다. 화장품 및 건강기능식품 매출이 없다면 이 기나긴 개발과정을 견뎌내기 힘들 것이다. 바이오벤처는 신약개발이 최우선이지만 지속가능한 신약 개발을 위해서는 매출원 선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바이오 투자 가뭄은 여름이면 어김없이 찾아오는 장마처럼 늘 반복되는 피할수 없는 사이클이다. 물들어 올때 배 띄우는 것이 당연하다면, 반대로 물이 빠질 때를 대비한 플랜B도 준비해야 한다. 썰물을 예상하지 못한 상당수 바이오벤처에게 퓨젠바이오의 사업 다각화 전략은 생존을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 여실히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