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직접 처리 사건은 공소제기 요구 6건, 불기소 311건 등 2632건이었고 다른 수사기관 이첩은 3176건으로 절반이 넘었다. 그러면서도 지난 2년간 사용한 예산은 총 280억원에 달해 법조계 안팎에서는 ‘제구실은 못 하면서 세금만 낭비한다’는 비판이 잇따르고 있다.
이런 가운데 김성문 전 공수처 부장검사는 지난 19일 직원들에게 이메일로 보낸 사직인사 글에서 “내부 비판을 외면하는 조직은 건강하지 않다”며 공수처 지도부를 정면 비판했다.
검찰 출신인 김 전 부장검사는 “공수처 근무 기간은 몸은 가장 편했지만, 마음은 가장 불편했다”며 “많은 현안에 대해 법원 출신 간부들과 다른 의견을 개진했다”고 적었다. 판사 출신인 김진욱 공수처장과 여운국 차장은 수사 경험이 적은탓에 수사 일선과 이견·갈등이 잦은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면서 “공직자는 항상 언행에 신중하고 비판적인 보도가 있다면 자신의 언행이 문제가 없었는지 살펴봐야 한다”며 “내부의 일을 외부에 알린 사람을 탓할 일은 아니다”고 꼬집었다. 김 처장은 부적절한 언행으로 여러 차례 구설에 오른 적 있지만, 책임을 내부 제보자에게 돌리면서 안팎의 빈축을 샀다.
|
예 전 부장검사는 현 공수처의 문제점으로 △수사에 전념할 수 없는 인력구성 △수사 대상자와 기소 대상자의 불일치 △이첩요청권 행사에 따른 기관 간 갈등 등을 짚고, 특히 법적으로 정해진 검사 25명, 수사관 40명의 정원으로는 수사 역량 저하가 불가피하다고 지적했다. 김진욱 처장 역시 공수처가 제 역할을 하려면 인력증원이 절실하다는 입장을 거듭 피력하고 있다.
예 전 부장검사도 이러한 문제점을 의식한 듯 “검사가 공수처에서 계속 근무할 수 있는지 의문이 든다면 조직의 기반이 흔들릴 것은 자명하다”며 “상당한 정도의 수사 인력증원뿐만 아니라 공수처 검사와 수사관들의 신분보장 강화가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일각에서는 인적쇄신 차원에서 김진욱 공수처장이 사퇴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하지만 김 처장은 “맡은 바 소임을 다하겠다”며 임기를 끝까지 마치겠다고 거듭 선 그은 바 있어 리더십 교체는 요원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