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국민연금공단 기금운용본부에 근무하다 서울 소재 자산운용사로 이직한 시장 관계자는 이같이 말했다. 국민연금을 비롯한 국내 공적 기금들이 저조한 수익률 개선 대안으로 너도나도 대체투자 확대에 나섰지만 관련 전문인력은 여실히 부족한 상태다. 대체투자는 대상 자산 범위가 광범위하고 주식·채권과 다르게 가치평가가 쉽지 않은 영역이다. 부실자산을 걸러낼 전문 역량이 손익과 직결된다는 점에서 사실상 리스크 방어에 큰 허점이 있다는 지적이다.
|
강선우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민연금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상반기 기금운용본부 퇴사자는 14명이다. 이 중 인프라 및 부동산 투자 등 대체투자 관련 부문 인력만 6명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선임급 이상의 허리인력 이탈 비중이 높았다. 퇴사자로 인한 결원을 신규 채용으로 메워도 악순환이다. 국민연금은 올해에도 연초이후 2차례 채용 공고를 내 인력 충원을 시도했으나 이탈자가 많아 사실상 밑빠진 독에 물 붓기인 상황이다.
위탁운용도 해법은 안 돼…“보상체계 개선이 답”
외부위탁운용관리(OCIO)를 늘려 내부 인력 한계를 어느 정도 보완할 수는 있다. 그러나 공적연금인 국민연금의 위탁운용은 사실상 직접 운용에 준하는 성격을 가진다. 위탁사 선정 시에도 리스크관리를 위해서는 위탁 금융사와 운용자산을 꼼꼼히 평가하고 실사할 수 있는 수준의 전문성을 갖춘 국민연금 내부 인력의 존재가 필수적이다. 퇴사 행렬이 이어지는 가운데 고질적인 전문인력 부족이 결국 리스크 확대로 연결될 수밖에 없는 셈이다.
한 공제회 고위 관계자는 “사실상 공격적인 성과급 체계를 희망하는 인력들은 공제회 라인으로 오려고 하지 않아 외부 수혈이 쉽지 않은 환경”이라며 “내부 인력을 위주로 전문성을 기르려고 하지만 성과급 따라 이탈은 막을 수 없다”고 말했다.
전문가는 공적기금 운용인력에 대한 근무 환경과 보상체계를 시장 여건에 맞게 개선하는 것만이 현실적인 대안이라고 지적한다. 남재우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국민연금을 필두로한 공적기금들이 대체투자를 늘리려고 해도 원하는 만큼 못 늘리는 큰 원인 중 하나가 인력이 부족하기 때문”이라며 “시장에서 대체투자와 전통자산 인력 간에 몸값이 다르다. 공적기금도 이 점을 반영해서 운용역에 대한 성과보상 체계를 유연화하는 것만이 대안이다. 동일하게 가려고 하면 민간 회사로 연봉 두세배 올려 빠져나가는 것 절대 못 잡는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