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설사 현장 대기반은 상시 조직은 아니라 임시 조직이다. 현장이 마무리되면 거기에 투입된 인력을 다른 현장에 재배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요가 본사에서 ‘잠시 머물다’가는 성격이다. 건설 경기가 한창 좋을 때는 현장 대기반을 수용하는 공간은 필요가 없다시피 하다.
임시 조직과 같던 현장 대기반이 최근 들어 상시 조직화되는 기미가 보인다. 원인은 이들 인력을 다시 배치할 현장이 없기 때문이고, 근원은 건설경기가 위축한 탓이다.
이런 상황이 지속하자 건설사 현장 대기 수요 증가로 이어졌다. 이로써 건설사가 져야 하는 부담은 늘어난다. 우선 현장 대기반이 본사에 머무르는 공간을 마련하고, 관리 인력을 따로 붙여야 한다. 아울러 현장 인력의 노무비는 현장 공사비로 충당해야 하는데 이를 회사의 자본으로 감당해야 한다. A건설사가 재택 대기를 결정한 데에는 이런 불가피한 이유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이다.
주택 부문 매출 비중이 큰 건설사일수록 A 건설사와 같은 타격을 받고 있다. 주택에 주력하는 시공능력 상위권의 B 건설사는 준공을 마무리하는 현장마다 계약직 인력과 재계약을 진행하지 않기로 했다. 계약직은 현장과 회사에 대한 이해가 깊고, 채용 자체도 비용이라서 ‘되도록 재계약’을 해온 게 관례였다. 그러나 본사 인력도 재배치가 여의찮은 상황에 이르자 계약직을 다시 수용하지 않기로 기조가 바뀌었다.
시공능력으로 순위를 다투는 A와 B 건설사 사정이 이 정도인 점에 미뤄, 건설업 전반이 인력 운용이 애를 먹고 있다고 업계는 보고 있다. 다른 건설사 관계자는 “건설사가 인력을 운용하고 장비를 돌리려면 최소한의 현장이 있어야 하기에, 때로는 적자 현장이라도 수주를 하기 마련”이라며 “지금 같은 경기에서는 이런 적자 현장도 들어가기가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