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일 은행권에 따르면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주택담보대출 6개월 변동금리는 연 4.09~5.867로 집계됐다. 이는 약 보름 전인 4월 17일 4.18~5.741%와 비교하면 상단 기준 오히려 0.13% 가량 오른 수준이다.
5대 시중은행의 주담대 변동금리는 월별 첫 영업일 기준으로 했을 때 1월 5.27~8.12%로 8%를 넘었다. 이후 2월 4.86~6.89%, 3월 4.53~6.39%로 빠르게 내려갔다. 4월 첫 영업일인 3일에는 4.18~6.22%로 하락세가 주춤하더니 중순쯤을 기점으로 다시 반등한 것이다. 5대 시중은행의 주담대 고정금리(5년) 역시 지난달 3일 3.69~5.94%에서 17일 3.64~5.82%까지 낮아졌다가 이날 3.70~5.88%까지 올랐다.
다른 대출상품도 비슷한 추세다. 전세자금대출 6개월 변동금리는 지난달 17일 3.74~5.96%에서 이날 3.69~6.02%로 다시 상단이 6%를 재돌파했다. 신용대출 6개월 금리도 같은기간 4.73~6.05%에서 4.63~6.13%로 상단이 상향 조정됐다.
아직까지는 대출금리 오름세가 전반적인 경향은 아니고 상승폭이 크진 않다.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실제 해당월 취급된 대출을 기준으로 한 5대 시중은행의 주담대 평균 금리는 1월 4.99%에서 2월 4.84%, 3월 4.77%로 하락 기조를 보이고 있다.
은행들은 주로 은행채 발행을 통해 자금을 조달하는데 최근 은행채 금리가 오르면서 조달비용 역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금융투자협회 채권정보센터에 따르면 은행채(무보증·AAA) 3년물 금리(채권평가사 평균)는 이달 2일 기준 3.830%로 최근 한달새 최저인 3.676%(4월 10일)보다 0.154%포인트 상승했다.
은행채 3년물 금리는 지난해 11월 한때 6%를 넘겼다가 올해초 4%대까지 낮아진 후 3월부터 3%대 후반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다가 4월 중순 이후부터 차츰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양상이다.
|
시장금리가 오르는 이유는 당분간 기준금리가 하락 전환하지 않을 것이라는 예상이 반영됐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지난달 11일 금통위에서 기준금리를 3.5%로 동결 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물가상승률이 중장기 2%로 수렴한다는 확신이 들 때까지 금리 인하를 언급할 단계가 아니다”라며 매파적(통화 긴축적) 입장을 보였다.
지난 2일 공개된 금통위 의사록에서는 물가 등을 감안할 때 금리를 추가로 올릴 수 있다는 의견이 나오기도 했다.
통계청이 2일 발표한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4월 소비자물가는 전년동월대비 3.7% 오르는데 그쳤지만 식료품·에너지 가격을 제외한 근원물가 상승률은 3개월 연속 4%대로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이에 당분간 한은의 매파적 기조가 계속될 수 있다는 게 시장의 판단이다.
여기에 대출금리의 산정 기준이 되는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는 3월 신규취급액 기준 3.56%로 전월대비 0.03%포인트 오르기도 했다. 여러 상황을 종합해 감안하면 당분간 대출금리가 추가로 낮아질 가능성이 낮다는 판단이다.
조용구 신영증권 연구원은 “국고채금리는 기준금리 동결 기조와 경기 둔화 전망으로 소강 국면이 지속되겠지만 근원물가 지속되면서 단시일 내 인하 전환은 어려울 것”이라고 예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