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김형환 기자] 고물가 시대 천원에 아침을 주는 ‘천원의 아침밥’ 사업이 대학가에서 큰 인기를 얻고 있다. 경희대에서는 천원의 아침밥 사업 첫날 100인분이 30분만에 완판되기도 했다. 농림축산식품부가 지난해 사업에 참여한 학생 5437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는 ‘사업이 이어졌으면 좋겠다’는 답변이 98.7%에 달했다.
| 3일 오전 서울 동대문구 서울시립대 학생식당에서 학생들이 ‘천원의 아침밥’을 먹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
이에 정부는 천원의 아침밥 사업 규모를 현재 69만명에서 2배 이상인 150만명으로 늘리기로 결정했다. 고물가에 대학생들의 조식 결식률을 줄이고 쌀 소비 문화를 확산하겠다는 이유에서다. 서울 지역 대학은 앞다퉈 사업 참여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서울 지역 대학 관계자는 “워낙 (사업이) 인기가 많다보니 총장님도 관심이 많다”며 사업 참여를 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천원의 아침밥 열풍에도 지방 군소 대학은 ‘언감생심’이다. 천원의 아침밥 사업은 학생이 1000원을 내면 정부가 1000원을, 나머지는 대학 당국이 부담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경남 지역의 한 대학 총장은 “있는 학생식당도 닫을 판인데 어떻게 천원에 아침밥까지 주겠냐”며 “천원의 아침밥 사업도 수도권 대학과 지방 대학의 격차를 보여준다”며 씁쓸하게 웃었다. 참여할 학생이 없다는 자조적인 농담도 나온다. 전남 지역의 한 대학 총장은 “점심시간에 학생식당을 가도 텅텅 비어있다”며 “1000원이 아니라 100원이라고 해도 오는 학생이 많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9월 교육부는 대학 구조조정 계획을 통해 2025년까지 대학 신입생 정원을 1만6197명을 감축하겠다고 밝혔다. 이중 비수도권 대학이 1만4244명으로 전체의 88%를 차지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첨단산업 인재 양성’이라는 명목으로 서울대 등 서울 주요 대학을 중심으로 증원을 허용해준다고 한다. 지방대의 한숨은 더욱 깊어지고 있다.
대학이 사라지면 지역 자체가 소멸한다. 지방대는 교육기관을 넘어 지방의 생존을 위한 구심점이다. 윤석열 정부의 국정과제인 ‘지방대 전성시대’를 성공하기 위해 지방대를 위한 획기적인 지원 대책이 절실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