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네서점이 무너져내리고 있다. 독서 인구의 지속적인 감소, 대형서점과 온라인서점으로의 고객이탈 등 구조적 요인에다 최근엔 코로나19의 장기화로 근근히 버티던 서점들이 끝내 문을 닫거나 근근히 연명하고 있다. 동네서점 활성화를 위한 정책당국의 지원 역시 현실에 맞지 않는 탁상행정으로 실효성 논란을 빚고 있어 동네서점을 두 번 울리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지난해 9월 서울 은평구에서 25년간 자리를 지켜온 동네서점 불광문고가 문을 닫으며 업계에 충격파를 던졌다. 불광문고 관계자는 “어떻게든 안간힘을 쓰며 버텨보려고 했지만 쉽지 않았다”며 “대형서점이 지역으로 지점을 확장하면서 지역오프라인 서점의 설자리는 갈수록 좁아졌고, 형식적인 도서정가제로는 기울어진 도서유통구조를 바로 잡을 수 없었다”고 설명했다. 불광문고가 지역문화의 거점 역할을 했던 만큼 지역 주민들의 아쉬움도 컸다. 주민들은 자발적으로 구청에 불광문고 폐업을 막아달라는 청원을 넣는가하면 서점이 문을 닫는 날엔 단골손님들이 “어릴적 추억이 역사속으로 사라진다”며 서점 앞에 긴 줄을 늘어서며 자체적으로 이별식을 진행했다.
한국서점조합연합회의 전국 지자체별 동네 서점수 분석결과 2003년 547개였던 서울지역 서점 수는 2019년 324개로 40.8%줄었다. 같은 기간 전국 동네 서점이 2247개에서 1976개로 12.1%감소한 것을 감안하면 서울 지역 감소속도가 전국평균의 3배가 넘는 셈이다. 연합회측은 올해 발표할 ‘2021년 통계조사’에선 이 같은 추세가 더욱 확연히 드러날 것으로 전망한다. 연합회 관계자는 “최근 2년간은 코로나19로 온라인 시장이 훨씬 커지고 쿠팡까지 도서시장에 진출하면서 오프라인 서점이 더욱 어려워졌다”고 설명했다.
|
하지만 조례 제정 6년이 다 되가지만 실효성은 없다는 지적이 현장에서 나온다. 연간 관련 예산이 3억원 수준으로 턱없이 부족한 것은 물론, 다른 소상공인들과의 형평성 때문에 임대료 및 인건비 등 현실적인 지원은 어렵기 때문이다. 익명을 요구한 동네 서점 대표는 “동네 서점 활성화 사업이라고 해봤자 홍보 행사나 작가 초청 행사에 몇십만원 정도 지원해 주는 수준”이라며 “공공 도서관이 책을 구매할 때 무료 배송은 당연하고, 10% 가격 할인에 5% 적립까지 요구하는 경우도 많아 사실상 남는 것은 거의 없다”고 털어놨다. 이에 대해 서울시 관계자는 “동네서점도 결국 소상공인의 한 축이라서 특별히 지원을 해 주기는 어렵기 때문에 한계가 있는 건 사실”이라고 설명했다.
또 서울시가 동네서점 활성화 관련 사업을 직접 담당하기 보단 산하 기관인 서울도서관에서 맡는데 따른 한계도 있다. 조주현 조주현 종로서점조합 조합장은 “서울도서관에서 노력을 하고 있긴 하지만 아무래도 인원도 적을 수밖에 없다”며 “동네서점 활성화 정책을 위해서 문화부, 경제부 등 다양한 부서가 협력을 하는데도 구조적으로 어려움이 있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