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 주권’이 어느 때보다 절실한 상황이다. 하지만 국내에서 코로나19 백신을 개발하고 있는 5개사는 올해 들어서야 임상 1·2상에 진입했다. 올해 말쯤 조건부 허가 및 임상 3상 진입을 목표로 하고 있다. 모든 업체들이 백신 개발에 성공할 지는 아직 알 수 없다. 무엇보다 막대한 임상비용이 신속한 개발의 걸림돌이다. 백신 개발사들은 보다 적극적인 정부 지원을 호소하고 있다.
|
21일 국회 고위관계자는 “현재 백신 개발에 성공할 것이라고 보는 회사로는 2곳 정도가 꼽히고 있다”고 설명했다. 국내 백신 개발은 셀리드(299660), 제넥신(095700), SK바이오사이언스(302440), 진원생명과학(011000), 유바이오로직스(206650) 등 5곳이 진행 중이다. 이 중 가장 앞선 것으로 평가받는 곳은 셀리드와 제넥신으로 임상 2상 단계에 진입했다.
셀리드는 현재 임상 2a상에 들어가 120명 대상 투약을 시작했다. 6월 말쯤 임상 2a상 데이터를 도출하면서 임상 2b상에 진입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8월 임상 3상 시작과 동시에 조건부 허가 신청을 예상하고 있다. 오는 23일 대한약학회에서 30명을 대상으로 한 임상 1상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제넥신은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 GX-19N에 대한 임상 1상 결과를 논문으로 정리하는 중으로, 이르면 4월 첫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현재 투약이 이뤄지고 있는 임상 2a상 데이터는 7월에 나올 예정이다. 올해 말쯤에는 임상 2상을 끝내고 식약처에 임상 3상 데이터를 제출하는 조건으로 사용허가를 받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제넥신이 개발하고 있는 백신은 DNA 백신이다. 바이러스 등의 유전자들 중 일부를 인공적으로 복제해 체내에 주입한다. 다만 DNA가 세포 안으로 잘 전달되지 않는 특징이 있어 전기천공기가 필요하다. 세포에 자극을 주어 일시적으로 구멍을 만드는 형식이다. 제넥신 관계자는 “기존 출시된 mRNA 백신, 벡터 백신은 전달체에서 부작용이 발견됐다”면서 “제넥신 백신은 따로 전달체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부작용 우려가 적다”고 말했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2개의 후보물질을 두고 임상을 진행 중이다. 백신 후보물질 NBP2001에 대해서는 임상 1상 환자 모집과 투약을 끝낸 상태다. 또 다른 후보물질 GBP510은 임상 1·2상 단계에 진입했다. 올해 3분기 두 후보물질 중 하나를 정해 임상 3상에 진입, 내년 상반기에 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SK바이오사이언스가 개발하고 있는 백신은 노바백스와 비슷한 합성항원 방식이다. 비교적 전통적인 방식의 백신으로 안전성이 검증돼있지만 단백질을 만들어 주입하는데 다소 시간이 걸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진원생명과학은 지난해 12월 임상 1·2a상을 승인받고 투약을 진행 중이며 상반기 내에는 완료할 예정이다. 연말에는 3상에 진입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유바이오로직스는 이들 중 가장 늦게 코로나19 백신 개발에 착수했다. 올해 1월 임상 1·2상 시험계획을 승인받고 시험을 하고 있다.
백신업계와 전문가들은 한 목소리로 임상 3상을 걱정하고 있다. 임상 3상은 1, 2상과 다르게 수천명, 수만명 단위로 이뤄진다. 우리나라에서는 일일 확진자가 수백명에 그치는 만큼 업체들이 선택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선택지는 글로벌 임상이다. 협력 가능한 나라와 의료기관을 찾는 것부터가 난제다. 대상자를 확보하더라도 투약과 결과 도출까지는 수천억~수조원이 들 것으로 예상된다.
백신 개발을 앞당기기 위해서는 전폭적인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올해 정부가 코로나19 백신 및 치료제 개발을 위해 책정한 예산은 1528억원 수준이다. 보건복지부가 추가로 투입한다고 발표한 예산은 700억원 규모다. 미국 국립보건원(NIH) 산하 국립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NIAID)와 공동으로 백신을 개발한 모더나가 미국 정부로부터 1조원이 넘는 지원금을 받은 데 비하면 턱 없이 부족하다. 국내 백신 개발업체 고위관계자는 “개발 속도를 당길 수 있는 것은 걸국 자금이다”라면서 “수천억원의 개발비용을 감당할 수 있는 국내 업체는 거의 없다”고 말했다.
지금이라도 일부 업체와 조직에 자금을 집중해 백신 개발 속도를 끌어올려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이준행 국제백신학회 조직위원장(전남대 의대 교수)는 “정부가 수백억원을 지원해도 한 업체에 돌아가는 자금은 수십억원에 불과하다”면서 “지금이라도 백신 전문가들과 회사들을 선별, 회사와 연구자들로 ‘어벤져스’ 팀을 만들어 전폭적인 지원을 하면 국산 백신 개발이 앞당겨 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만약 해당 방법이 여의치 않다면 하루빨리 안전성과 효능이 입증된 해외 백신을 기술이전 받아 국내 생산물량을 늘리는 것이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