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 4대 시중은행 엔화 예금 잔액은 지난 4월말 총 5788억엔에서 현재(이달 18일 기준) 9866억엔으로 70% 늘어났다. 이달 들어서만 327억2600만엔이 불어났다. 약 보름 만에 8월 한 달치 증가폭(158억9300만엔)의 2배가 늘어난 셈이다.
4대 은행 전체 엔화 예금 잔액은 4월 5787억6400만엔, 5월 6978억6000만엔, 6월 8818억8600만엔, 7월 9379억9500만엔, 8월 9538억8800만엔으로 꾸준히 늘어났고, 9월 18일 기준 현재 9866억1400만엔(약 8조8900억원)에 달하며 1조엔을 목전에 두고 있다.
엔테크 열풍이 부는 것은 투자자들이 엔화가 싸다고 느껴서다. 실제로 최근 10년간 평균 엔화 환율은 1038.2원이었다. 일반적으로 ‘100엔=1000원’을 평균적인 원·엔 환율로 기억할 만하다. 하지만 원·엔 환율은 2015년 6월 이후 8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여행 수요와 함께 엔저 현상으로 인한 차익 목적으로 엔화 예금 증가 추세가 이어지고 있다”며 “대일본 수출 기업 입장에선 엔화가 저렴하기 때문에 미리 사놓고 추후 결제에 이용하려는 수요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인터넷 재테크·여행 커뮤니티에는 “환전 타임입니다” “800원대에 진입했네요”와 같은 글들이 계속 올라오고 있다. 회사원 김모(41)씨는 “일본 여행을 계획하고 있어 엔화가 떨어졌길래 샀는데, 이 정도면 많이 싼 것 같아서 투자 차원에서 좀 더 사뒀다”고 말했다. 다만 엔화가 900원대로 떨어져 싸다고 판단하고 투자에 나선 이들은 현재는 손실을 보는 중이다.
금융투자 업계는 대체로 결국 엔화가 강세로 돌아설 것으로 전망하지만, 단기간에는 약세를 이어갈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장기 투자가 아니라면 엔화 가격만 보고 뛰어드는 것은 위험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유정 하나은행 연구위원은 “최근 일본 경기 등을 볼 때 완화적 통화 정책 등 기조를 바꾸기 어려워 엔저 현상은 당분간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일본의 8월 무역 수지는 9304억엔(약 8조3650억 원) 적자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투자은행 골드만삭스도 최근 투자 메모를 통해 “향후 몇 달간 엔화가 큰 강세를 보이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