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정부와 여당이 4차 재난지원금 지급을 서두르면서 일부 사업은 지원대상조차 확정하지 못하는 등 곳곳에서 구멍이 나타나고 있다.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한 보완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
9일 국회예산정책처의 추경안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정부가 작년말 추진계획을 발표한 3차 재난지원금의 실집행률(2월 15일 기준)은 57.0%(실집행액 5조2494억원)에 그쳤다.
이중 9132억원을 배정한 고용유지지원금은 1637억원(17.9%)을 집행하는데 그쳤다. 휴업·휴직수당을 주는 사업자에게 인건비 일부를 지원하는 사업인데 실제 휴업·휴직 후 지원금 지급까지 시차가 발생한다는 게 고용노동부의 설명이다.
지방의료원에 감염병 필수·음압병상을 구축하는 사업은 예산 716억원이 그대로 남았다. 국비와 지방비를 일대일로 매칭해 지원하는 사업인데 지방비 확보가 늦어지면서 국비 교부도 미뤄졌다.
방문·돌봄서비스 종사자 9만명에게 생계지원금 50만원씩을 지원하는 사업은 460억원 중 0.1%인 3900만원을 집행하는데 그쳤다. 고용부 관계자는 “종사자의 재직·소득 요건을 확인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DB) 확보에 시간이 걸려 지급이 늦어졌다”고 설명했다.
심지어 작년 9월에 편성한 2차 재난지원금(7조7465억원)도 아직 지급이 다 끝나지 않은 상태다. 지난해말 기준 실집행률은 86.7%(6조7166억원)이다. 가족돌봄비용 긴급지원(14.7%), 아동보호전담요원(24.5%), 폐업 점포 재도전 장려금(35.8%) 등은 절반도 쓰지 못했다.
가족돌봄비용의 경우 가족돌봄 휴가 사용시 1인당 하루 5만원을 지원하는 사업인데 신청자 자체가 적어 집행이 저조했다. 수요예측에 실패해 예산을 낭비한 대표적인 사례다. 폐업 지원은 8월 16일 이후 폐업만 대상으로 지원하는 등 문턱이 높은 탓이란 분석이다.
자여업자와 소상공인 재난지원금을 설 명절 전에 90% 이상 지원하겠다던 약속은 결국 지켜지지 못했다. 예정처에 따르면 설 연휴 직후인 지난달 15일 소상공인·고용취약계층 지원 사업(5조5987억원)의 실집행률은 79.8%(4조4670억원)다.
예정처는 4차 재난지원금의 필요성은 인정하지만 적시에 효과적인 집행을 위해 기존 사업들의 부진 사유를 바탕으로 집행률을 높일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지원금 지급 요건이 지나치게 엄격한 사업은 진입 장벽을 낮출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방문·돌봄 종사자 지원 등 일부 사업은 행정 DB 확보나 행정인력 부족 등이 지연 사유로 꼽혔는데 관계부처간 협력을 강화하고 탄력적인 인력 활용이 필요하다는 판단이다.
세부 내용을 확정하지 않은 사업도 빨리 마무리해야 한다는 조언이다. 소상공인 대상 버팀목자금 플러스는 업종평균 매출이 20% 이상 감소한 경영위기 업종에 200만원을 지급키로 했는데 대상 업종 10개 중 여행·공연만 확정됐다.
경영위기 업종은 100만원만 지급하는 일반업종보다 두배 많은 금액을 지원 받는 만큼 대상을 빨리 확정해야 현장의 혼선을 줄일 수 있다.
소상공인 전기요금을 30~50% 비율로 3개월간 최대 180만원 지원하는 사업은 지역별 방역 상황이 다르고 대상 파악이 완전히 이뤄지지 않은 만큼 실제 집행이 저조하거나 예상을 웃돌 수도 있다는 판단이다. 이에 추경안 심사 과정에서 정확한 정보에 근거를 두고 예산 적정성을 따질 필요가 있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추경을 편성하는 과정에서 불요불급한 사업들이 들어가는 경우가 있는데 왜 집행률이 낮은지 이유를 먼저 파악해야 한다”며 “추경 심사나 추가 편성할 때도 필요성과 타당성을 충분히 검토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