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장 FTA 문제가 본격화하면 ‘성장 확대냐, 양극화 심화냐’는 찬반 논전이 가열될 것으로 보인다. 한국 사회의 미래를 어떻게 그려갈 것인가에 대한 정당과 대선주자들의 시각차가 내연해 있는 셈이다. 정부·여당은 “한국은 개방하면 이익을 보는 나라”라면서 FTA가 한국 경제의 성장촉진제 역할을 하고, 경제시스템도 한 단계 도약할 것임을 강조한다. FTA 체결이 세계적 추세여서 피할 수 없다는 불가피론도 덧붙여진다.
반대로 FTA가 발효되면 농·축산업 등을 중심으로 심각한 피해를 보고 궁극적으로 산업 간, 대·중소기업 간, 사회계층 간 양극화가 심화될 것이란 목소리도 커지는 상황이다. 국가와 기업은 성장하는데, 중산층·서민층의 소득은 줄어드는 현상도 FTA 논전에 맞물릴 상황이다. 야권은 한·EU 및 한·미 FTA 모두 정부의 밀어붙이기, 부족한 피해대책 등 준비·절차상의 중대한 결함도 제기하고 있다.
정치권에선 FTA 대치가 본격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EU FTA 비준동의안 처리에도 불구하고 후속대책 마련이 미완인 데다 한·미 FTA 문제가 얹어지면서다. 특히 한·미 FTA에 대해선 첨예한 대결이 불가피해 보인다. 야권이 한·EU FTA 처리 과정에서 삐걱거린 것을 계기로 ‘한·미 FTA 공조’를 강화할 전망이다. 내년 총선·대선에서의 야권연대에도 영향을 줄 사안인 까닭이다.
한나라당도 FTA가 가진 폭발력을 감안해 일단은 신중한 입장을 밝히고 있다. 황우여 신임 원내대표는 “야당과 이야기를 나누고 국민들의 목소리를 들어서 충분한 대안을 만든 뒤 체결 시기를 조정해 나가겠다”고 원론적 입장을 개진했다. 하지만 청와대와 정부가 FTA를 밀어붙이는 상황이라 여야 간 긴장은 고조될 수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