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온라인 설명회를 열고 자체 개발한 이중항체 플랫폼 ‘S-DUAL(에스-듀얼)’을 소개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중항체란 두 개의 각각 다른 타깃에 결합하는 항체들을 하나의 형태로 결합시킨 항체다.
|
최형석 삼성바이오로직스 바이오연구소 연구기획팀장은 이날 설명회에서 “이중항체 플랫폼에 대해 연평균 30%가 넘는 성장률과 5~6년 이내 5배 이상 시장으로 성장할 차세대 의약품으로 꼽힌다”며 “개발 중인 파이프라인만 600개가 넘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이런 한계들을 극복하기 위해 이중항체 구조를 특화했다. S-DUAL은 사람 몸속 항체(IgG)와 유사한 형태로, 체내에 투여시 면역 반응을 일으킬 위험이 낮으며 항체와 같은 구조적 안정성을 갖도록 개발됐다. 또 비대칭 구조에 따라 이중항체 단백질과 결합 오류로 인한 불순물 단백질 간 분자량 차이를 쉽게 구분할 수 있어, 목적한 이중항체를 더욱 효과적으로 분리하고 분석할 수 있도록 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이 같은 독자적 이중항체 기술에 대한 특허 출원을 마치고 지난달 30일 사업화를 선언했다. 자체 개발한 플랫폼으로 다중항체 등 다양한 차세대 의약품으로 적용할 수 있게 됐다는 설명이다.
다만 매출 성장을 위해서는 대형 고객사 확보가 관건인데, 이 과정이 만만치 않을 것이란 의견도 있다. 업계에서는 삼성바이오로직스에 대한 CDMO 시장의 인식을 바꾸기 쉽지 않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세계 최대 규모 생산 능력을 자랑하는, 상업용 생산에 특화돼 있는 회사라는 인식이 강한 상황에서 잠재 고객사들을 설득시키려면 플랫폼 기술에 대한 차별점과 이를 증명할 데이터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중항체 플랫폼을 개발 중인 한 바이오 기업 대표는 “잠재 고객이 어떤 회사냐에 따라 매출이 달라진다. 중소형 바이오 업체들은 개발을 하다 보통 빅파마에 기술이전을 하고 그 과정에서 의약품 생산 주체가 바뀔 수 있기 때문에 이들과 계약 해서는 돈을 벌기 어렵다”며 “결국은 대형 고객사가 있어야 매출에도 도움이 될텐데, 그들도 대부분 플랫폼을 갖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삼성바이오 입장에서는 배양과 정제 기술을 증명할 수 있는 데이터, 특히 플랫폼 차별성이 뭔지 자신있게 말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