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의 약 75%인 3900만명이 가입해 ‘제2의 건강보험’으로 불리는 실손의료보험(이하 실손보험) 인상률이 내년 10% 이상 오를 예정인 가운데 벌써부터 가입자들의 불만이 쏟아지고 있다.
특히 백내장·갑상선 수술 등 일부 병·의원의 과잉진료와 무리한 의료쇼핑이 보험 손해율을 올리는 주범으로 떠오르면서, 정부와 보험사들이 애꿎은 서민한테 피해를 전가시키고 있다는 반발 여론이 거세다.
26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이번주 초 각 보험사들에게 실손보험 인상률에 관한 ‘의견’을 제시한다. 원칙적으로 보험료는 시장 자율로 결정되지만 실손보험과 자동차보험은 보험업계가 금융위의 의견을 수용해 보험료를 결정하고 있다.
반면 금융당국은 보험업계가 요구하는 20% 인상안에 부정적이다. 실손보험의 가격 인상 시 국민 부담이 커지기 때문이다. 실제로 1·2세대 보험(2017년 3월 이전 가입) 가입자 가운데 보험료가 3~5년 주기로 갱신되는 경우 몇년치 인상분이 한꺼번에 반영된다. 특히 고령층이 되면 요율 상승(1세당 평균 3%포인트)분이 반영돼 50% 이상 오르는 사례가 적지 않다. 올해 초에는 보험료가 2배 오른 경우도 있어 논란이 된 바 있다.
반면 연간 단위로 가입자의 60% 내외는 실손보험을 한 차례도 이용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됐다.
배홍 금융소비자연맹 국장은 “매년 손해율이 높아서 실손보험료를 인상해야 한다고 말하지만, 이는 소비자들에게 책임을 전가하는 행위”라면서 “당국과 보험사들도 손해율이 커지는 구체적 원인을 찾아 해결하려는 움직임을 먼저 보여주고 (소비자들을) 이해시켜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