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학가에선 이를 두고 비판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한 지방대 입학처장은 “지금 대학들은 정원을 못 채워서 난리인데 대학 신설이 웬 말이냐”고 지적했다.
교육부가 2019년 추산한 학령인구 변화에 따른 대학 입학자원 추이를 보면 한전공대가 개교하는 내년에는 대학 미충원 규모가 8만5184명으로 커진다. 이어 미충원 인원은 2023년 9만6305명, 2024년 12만3748명으로 해마다 증가할 전망이다.
이처럼 구조조정이 한창인 대학가에선 새로운 대학이 들어선다는 소식에 허탈하다는 반응이다. 충남지역 사립대 교수는 “이런 식으로 새 정권이 들어설 때마다 정치적 이유로 대학을 하나씩 세워준다면 대학들의 구조조정의 노력은 수포로 돌아갈 것”이라고 했다.
한전공대는 전남 나주 빛가람혁신도시 40만㎡ 부지에 설립된다. 에너지 특화 인재 양성을 내걸고 단일 학부(에너지공학부)를 개설하기로 했다. 한국전력에 따르면 2031년까지 한전공대 설립·운영에는 1조6000억원이 필요하다.
한전공대 설립·운영 비용을 기존 대학에 투자하는 게 낫다는 의견도 있다. 한 사립대 교육학과 교수는 “1조 원 가량의 재원을 기존 과학기술특성화 대학에 투자하면 에너지 특화 인재 양성을 더 잘할 것”이라고 했다. 이미 한국과학기술원(KAIST)·포스텍·광주과학기술원(GIST)·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울산과학기술원(UNIST) 등 전국 5개 지역에 설치된 과학기술특성화 대학을 활용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병태 KAIST 경영학부 교수도 “장기적으로 국가 에너지정책의 새로운 변화가 있거나 인력수급 측면에서 별도의 대학이 필요한 것도 아닌 상황”이라며 “한전공대 신설은 정치적 공약에 의한 예산 낭비에 지나지 않는다”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