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행사가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장외거래가 주당 2만원선임을 감안할 때 1인당 1억원 내외, 총 180억원대로 추산된다. 임금도 50%나 인상했다. 비바리퍼블리카의 스톡옵션 부여는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회사 설립이후 2015년부터 13차례에 걸쳐 회사 임직원을 대상으로 35만2000주의 스톡옵션을 부여했고, 이미 2017년 2월 3만4000주의 스톡옵션이 행사됐다. 이들 스톡옵션의 행사가는 액면가와 동일한 1000원으로 부여시점부터 2~4년이상 재직하면 7년 이내 행사할 수 있도록 했다. 현재 10만9000주이상이 당장 행사가능한 물량이다.
이와 관련 토스 관계자는 “스톡옵션 부여를 통해 개인과 회사의 성장을 동시에 경험할 수 있다는 점을 조직원 모두가 공유하고 있다”며 “조직원 300명 사업장이 될 때까지 들어오는 모든 조직원에게 지금에 준하는 스톡옵션을 부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비바리퍼블리카는 2017년말 기준 391억원 영업적자를 기록중이어서 일부에서 샴페인을 일찍 터트렸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하지만 인력 이탈을 막고 기업가치 제고를 위한 적절한 동기부여라는 평가가 우세하다.
이처럼 스톡옵션은 비상장, 중소·벤처기업들이 우수인재를 영입하는 데 있어 가장 유효한 수단이다. 당장 현금 유출은 제한적인 반면 기업가치 성장과 함께 과실을 가져갈 수 있다는 측면에서 회사나 직원 모두 윈윈할 수 있기 때문이다.
기업도 스톡옵션 등을 구인에 적극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잡코리아가 20~30대 직장인 445명을 대상으로 이직제의에 대한 설문조사(복수응답)한 결과 이직을 제의한 기업이 제시한 조건으로 연봉인상(56.8%)과 근무환경 개선(53.8%)이 가장 많았지만 스톡옵션도 24.9%로 상당했다. 승진(22.2%) 카드보다 활용도가 더 컸다.
다만 최근 테슬라 직원 46명이 스톡옵션을 행사한 이후 애플로 무더기 이직하는 등 단기 성과보상 먹튀 논란도 있다. 일부에선 대표나 임원 등에게만 스톡옵션을 부여해 형평성 논란도 제기되고 있다. SK그룹도 2017년 SK텔레콤 박정호 대표 등에게만 스톡옵션을 부여했지만, 지난해부터는 본부장, 부장급 등으로 범위 대상을 넓히고 있다. 보다 많은 임직원들이 기업가치 제고의 혜택을 받아야 보다 적극적으로 주주가치 제고에 나설 것이란 믿음에서다.
이와 관련 전문가들은 보다 많은 직원들이 기업가치 성장을 공유할 수 있는 방향으로 나가야 한다고 조언한다.
현재 상법상 총발행주식수의 10%로 제한된 스톡옵션 부여는 상장사의 경우 15%까지 허용된다. 벤처기업의 스톡옵션 부여는 50%까지 가능한 만큼 비상장사의 경우 스톡옵션 물량이 상장 이후 잠재적인 주당가치 하락을 가져올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다만 스톡옵션은 부여 시점보다 기업가치(주가)가 높아지는 경우에만 행사 가능한 ‘옵션’이다. 기업가치 제고, 주가 상승이 수반되지 않는 스톡옵션은 휴지조각에 불과하다.
이와함께 벤처기업 스톡옵션 행사시 비과세 혜택(현행 2000만원까지 비과세)이 확대된다면 더욱 강력한 인재영입 수단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란 예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