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종=이데일리 김상윤 기자] “사실 절망적이었는데…. 하나의 반전 드라마가 펼쳐진 거죠. 국회의원 앞이라 북받치는 감정을 숨기느라 혼났네요.”
18일 서울 송파구에 있는 수협중앙회에서 만난 공노성 수협중앙회 지도경제사업 대표이사는 수산업협동조합(수협법) 개정안이 국회 상임위원회에서 통과될 당시 상황을 이처럼 전했다.
수협법 개정안은 수협중앙회에서 수협은행을 자회사로 분리하는 사업구조개편안을 담고 있다. 수협은행은 강화된 은행 자본규제(바젤III)에 맞춰 자본금을 늘려 수익성을 키우고, 기존 경제사업은 유통·판매·수출 조직으로 특화해 재편하는 게 골자다.
여야 간 이견이 없던 내용이지만, 세월호 특별조사위원회 조사기간 연장 문제에 가로막혀 올 상반기 내 한번도 논의되지 못하고 19대 국회에서 폐기될 위기였다. 내부적으로도 ‘플랜B’를 준비하고 있었다. 하지만 4·13총선이 끝나고 ‘일 안 하는 국회’라는 비판 여론이 커지면서 극적으로 수협법개정안이 통과됐다. 올 12월부터는 은행업무를 별도로 전문화시키고 수협 본연의 경제사업도 본격적으로 착수할 여건이 마련된 것이다.
감사원에 가로막힌 FPC 추가 설립 추진
유통혁신은 크게 두 축으로 이뤄진다. 수산물 산지에는 거점유통센터(FPC)를 늘리고, 소비지에는 분산물류센터를 건립한다. FPC는 수산물 경매·가공·상품화 작업을 한꺼번에 하는 곳이다. 기존 위판장은 어민들은 잡은 고기를 경매시장에 넘길 뿐이었지만 FPC에서는 수산물을 1차 가공해 상품화하는 작업도 함께 한다. 현재 제주도·속초·완도에서 문을 열었고, 올해 말 경주에서도 준공할 예정이다.
문제는 추가 FPC건립에 차질이 빚어졌다. 감사원이 2013년 FPC사업에 대한 예비타당성(예타) 조사없이 기획재정부가 예산을 배정했다고 지적하면서다. FPC사업은 개소당 50억~150억원의 사업비가 들지만 감사원에서는 전체 FPC 사업비가 500억원 이상이 들어가니 무조건 예타를 받아야 한다고 문제 삼은 것이다.
공 대표는 “FPC는 사업대상에 따른 예산도 각각 달라 개별사업으로 봐야하지만 감사원이 이를 문제 삼고 있다”며 “현실성이 없으니 이를 풀어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종합수산물물류센터 ‘수협판 하나로클럽’ 나오나
‘수협판 하나로클럽’으로 볼 수 있는 수산물 분산물류센터를 설립하는 것도 유통구조 혁신의 핵심축이다. 수산물 분산물류센터는 FPC로부터 온 수산물을 추가로 가공해 소비자에게 직접 유통하거나 이마트 등 대형마트에 도매로 공급하는 수산물 종합유통물류센터다. 기존에 바다마트나 노량진수산시장이 원어를 중심으로 공급했다면 수산물 분산물류센터에서는 내장과 부산물을 제거해 소비자가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가공품 중심으로 유통을 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당초 수협은 대구에 1호점을 건립할 예정이었지만, 교통혼잡 등 주민반대에 부딪혀 수도권 설립으로 방향을 틀었다. 현재 동탄, 광명, 용인, 수원, 하남, 미사 등 수도권 남부 권역중심으로 부지를 찾고 있다. 연면적 5200평 규모의 지하1층~지하5층의 센터설립을 검토하고 있다. 이외 인천의 공판장을 리모델링 해 물류, 가공중심의 분산물류센터로 탈바꿈할 계획이다.
공 대표는 “부지가 비싸 현재 조사를 하고 있지만, 수도권 시민이 1시간 내에 깨끗하게 가공된 다양한 수산물을 살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려고 한다”면서 “수산물 유통구조가 간소화돼 소비자들이 좀 더 저렴한 가격에 수산물을 먹을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