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상황에도 아랑곳 않고 후순위채 가격은 상승세를 타고 있다. 하지만 시간이 흐를 수록 위험도가 커 투자에 주의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20일 크레딧 업계에 따르면 한국신용평가는 지난 17일 동양증권의 후순위채 신용등급을 ‘BBB’에서 ‘BBB-’로 하향조정했다. 등급 전망은 ‘하향 검토 대상’으로 유지됐다. 고객 자금이 대거 이탈한 데다 불완전판매 문제가 커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동양사태가 터진 지난달 23일 이후 최근까지 동양증권에서 10조원의 자금이 유출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 중 60% 가량은 종합자산관리계좌(CMA)이다. 8월말 7조8000억원에 달하던 CMA계좌 잔고는 현재 2조원 가량이 남아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주식연계증권(ELS)와 파생결합증권(DLS) 등에도 1조6000억원 가량의 자금이 빠져나간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런 우려감에도 불구하고 최근 동양증권의 후순위채에 대한 인기는 상승하고 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19일 기준 2015년 6월에 만기가 돌아오는 ‘동양증권78’ 후순위채는 가격이 8053원선까지 올라섰다. 동양 사태를 전후해 7065.64원까지 내려갔던 것이 반등했다.
김익상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싸게 사서 비싸게 팔려는 투기 성격이 강하다”며 “동양증권이 영업을 중단하지 않고 다른 곳에 매각될 것이라는 기대 등도 반영되면서 가격 변동성이 높아지고 있다”고 판단했다.
하지만 가격 강세가 이어질 지는 다소 의문이다.
지난해(2012년 4월~2013년 3월) 동양증권은 판매·관리비용만 4026억원이 소요됐다. 반면 지난 3월말 동양증권의 자기자본 규모는 1조3043억원이다. 고정적으로 발생하는 비용 등을 감안했을 때 동양증권의 영업력이 회복되지 못할 경우 늦어도 4~5년이면 자기자본을 다 까먹을 수 있는 셈이다. 특히 현재 최대 쟁점으로 떠오른 불완전판매가 사실로 드러날 경우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
박 광식 한기평 연구원은 “후순위채의 상환 순위가 선순위채무 대비 늦고 만기가 2013년 11월부터 2019년 5월까지 장기간에 걸쳐 분포돼 있어 상환 가능성이 저하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