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들의 당면한 최대 고민은 취업난과 주거 불안정인 만큼 시는 경제적 자립을 위한 고용촉진, 능력개발 등 기본권 보장을 통한 복지 강화와 이를 주도적인 권리행사가 가능한 적극적인 시정 참여 등 다양한 시책을 마련하고 있다. 청년층 어려움은 곧 부모 세대의 어려움이라는 인식에서 일자리와 주거를 지원하는 ‘희망사다리’가 바로 그 결과 중 하나다. 구리시 지도를 바꾸는 한강변도시개발사업과 사노동 e-커머스 물류단지, 갈매지식산업센터 등 소프트웨어와 인공지능 같이 청년들의 창의적 아이디어와 새로운 혁신 기술이 꽃 피우기 좋은 첨단산업 조성에 온 힘을 쏟고 있다.
|
지역이 주도하는 창업과 일자리창출…선순환 구조 조성
시는 지난 2018년 12월 청년 창업가 육성을 통한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구리시 청년 창업지원센터를 개소했다.
센터는 청년 창업가를 위한 입주시설 지원과 창업 교육, 컨설팅, 창업 사업화 자금 지원 등을 통해 현재까지 59명의 청년 창업자를 발굴하는 등 지역에서 창업하고 이를 통해 일자리가 창출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가고 있다.
020년 7월 설립된 구리시 상권활성화재단은 예비 청년 창업자 온라인 판로개척 지원과 마케팅 투자, 아카데미 교육 등 구도심 상권활성화구역 내 청년 창업가 유입과 청년 고용률을 증가시키기 위한 활동을 전담한다. 청년 취업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한 대책으로 청년을 채용한 기업에 1인당 월 180만 원씩 2년간 인건비를 지원하고 해당 기업에 2년을 근속한 청년에게 인센티브 1000만원을 지급하고 있다. 지난해 3월에는 인창도서관에 메이커스페이스라 불리는 ‘꿈꾸는 공작소’를 신설했다. 청년들이 실제 창업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창업 지원자들의 동아리 구성과 지속적인 교육 프로그램 운영, 제품화 컨설팅 지원 등 혁신역량 축적을 돕고 있다.
|
시는 청년들에게 최소한의 정기적인 소득 지원을 통해 사회적 참여를 촉진하고 사회적 기본권보장을 위해 경기도와 함께 만 24세에 해당하는 청년들에게 1인당 연간 100만 원의 기본소득을 지급하고 있다. 지난해 기준 5496명 지역청년들에게 총 25억2800만 원을 지역화폐로 지급해 지역 소비를 유도함으로써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효과가 있었다. 또 정부·경기도와 함께 청년희망키움통장과 청년저축 계좌 운영으로 일하는 생계수급자, 차상위계층 청년이 사회에 안착할 수 있도록 자산형성을 지원하는 사업도 추진한다.
병역 이행을 위해 입영하는 청년들에게 2020년 11월 전국 최초로 구리시 입영지원금 지급 조례를 제정, 1인당 10만 원의 입영지원금을 지역화폐로 지급한 것은 민선 7기 수많은 정책 가운데서도 매우 뜻깊은 시책으로 인정받고 있다.
‘청년 기본 조례’ 제정…복지증진에 활력
이를 위해 지난해 9월 시의회 의원을 비롯한 민간 전문가 3명과 만 39세 이하의 청년위원 11명, 차종회 부시장 등 당연직 위원 5명 등 총 20명으로 구성된 청년정책위원회가 정식 출범했다. 시 청년 정책위원회는 청년정책 기본계획 시행계획의 수립 및 변경에 관한 사항, 시행계획의 추진실적 점검과 평가에 관한 사항, 청년정책의 시행을 위한 관련 사업의 조정 및 협력에 관한 사항 등 청년이 살고 싶은 청년 행복도시 구리시를 만들 수 있는 사업을 심의하는 역할을 맡는다.
|
외식업 분야 예비창업자 육성·발굴을 위해 마련한 ‘공드린주방’ 은 공공기관이 직접 운영하는 것은 물론 경기도 최대 규모로 주목받고 있다. 앞서 지난 2020년 10월 중소벤처기업부에서 주관한 ‘지역혁신 창업 활성화 지원사업’공모에 선정돼 확보한 예산을 토대로 구리유통종합시장 2층 내 유휴공간을 리모델링해 조성했다. ‘공드린주방’은 △개별형 주방 18실 △교육형 주방 1실 △위생전실 2실 △전처리실 1실 등 배달형 주방으로 구성했다. 선발된 입주자는 주방 시설이 완비된 공간에서 배달형 창업을 시작할 수 있다.
시는 청년층 등 선발된 예비 입주자들에게 주방 시설을 제공하고 분야별 전문가를 통한 교육·컨설팅을 지원해 외식업 분야 예비창업자나 소상공인 육성·발굴을 위한 창업 지원에 나설 예정이다. 아울러 시는 △청년이나 중장년 창업 지원을 통한 일자리 창출 △배달서비스업, 포장업, E-커머스 등 다양한 지역산업 및 경제 활성화 △교육, 컨설팅을 통한 창업자 역량 강화 △임대료 절감 등 창업 초기 부담 감소와 생존율 증대 등의 효과를 불러일으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