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기 떠나는 사과·인삼..서늘한 강원으로 북상
대구를 상징하는 사과 수확량 감소는 기온 상승이 부른 대표적인 사례다. 29일 통계청 자료를 보면 대구의 사과 경작지는 지난해 36헥타르(㏊)로 2010년(66㏊)부터 10년 동안 절반 가까이 감소했다. 사과가 대구를 떠난 이유는 더위 탓이다.
한국 연평균 기온(기상청 자료)은 2010년대(2011~17년) 13도를 기록해 1980년대(12.2도)와 1990년대(12.6도), 2000년대(12.8%)를 거치며 상승하고 있다. 사과는 연평균 8~11도 서늘한 지역에서 자라는 북부 온대 과수다. 오르는 기온을 피해서 시원한 곳을 찾는 것은 사과의 생존이 달린 문제다.
|
시원한 강원은 농업계 `신도시`로 부상하고 있다. 앞서 대구에서 사과 경작지가 줄어든 기간 강원에서는 5배(104→517㏊) 늘었다. 재배 면적으로 보면 전국 8번째에서 6번째로 순위가 올랐다. 사과처럼 큰 일교차에서 잘 자라는 인삼도 최근 강원으로 몰린다. 인삼통계 자료를 보면 전국 인삼 재배면적에서 강원 비중은 2009년 11.5%에서 2019년 15.9%로 늘었다. 전국 경작지가 25% 감소한 가운데 강원은 3.4% 증가한 결과다.
|
물론 품종 개량과 풍랑 등 관리에 노력이 더 들지만 `남해에서 동해 최북단`까지 진출은 성공적으로 평가받는다. 강원 고성군 농업기술센터 관계자는 “신규로 녹차를 기르고자 하는 농가가 있으면 지원을 아끼질 않을 예정”이라고 말했다.
기후변화 수혜는 착시..열대작물도 북상중
그렇다고 강원을 기온 상승 수혜지로 보기는 어렵다. 상대적으로 대구보다 시원한 것이지 절대적으로는 전보다 더워졌다. 대구와 마찬가지로 전에 있던 것을 잃고 있는데 대표적인 게 고랭지 채소다.
강원 지역의 고랭지 배추 재배면적은 지난해 4597㏊로 20년 전 1999년(7316㏊)보다 37% 줄었다. 경작지가 줄어드니 가격이 뛰었다. 고랭지 배추가 본격 출하하는 시기인 7월 기준 10㎏당 도매가격은 작년 1만240원으로 2010년(7860원)보다 30% 올랐다.
최남단 지자체 제주 풍경도 예전과 다르다. 지난해 국립아열대작물 실증센터가 전남 장성군에 들어서기로 결론난 것은 상징적이다. 앞으로 아열대 작물의 주무대가 제주가 아닌 내륙이 되리라는 전망이 우세한 결과다. 실제로 제주는 패션프루트와 애플망고 등 열대 과일을 기르는 농가가 늘고 있다. 원래 아열대성 감귤과 만감류(한라봉·천혜향·레드향 등) 등이 자라던 자리였다. 이제는 내륙에서도 기르다 보니 경쟁력이 전만 못해 경작물을 바꿨다.
|
특히 만감류 경작지 가운데 내륙 비중은 2015년 3.3%에서 2019년 3.7%로 증가 추세다. 전북 김제시와 경북 경주시는 2010년대 중반부터 만감류를 재배하기 시작해 이제 정착 단계다. 김제시 사례를 보면 현재 만감류 재배 농가 10곳이 정착해 지난해 36t을 생산했다. 김제시 아열대 작물 재배지는 25㏊에 이른다. 시는 애플망고 등 아열대 작물을 추가로 들여오고자 준비하고 있다. 제주에서 생산되는 것들이다.
이제 한라봉은 `백제봉`(김제)과 `신라봉`(경주)으로 부르는 지경이다. 중부 내륙까지 북상하는 건 시간문제다. 조만간 `고구려봉` `백두봉`이 나오지 말란 법도 없다는 의미다.
김영길 김제시 농업기술센터 주무관은 “온대보다 아열대 작물을 다루는 농가와 경작지가 늘고 있다”며 “그간 주력으로 삼아온 작물은 시차를 두고 상품성이 떨어질 것으로 보여 대응이 요구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