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존 ‘레거시 미디어’가 아닌 유튜브라는 뉴미디어 특성상 누구나 제한 없이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는 것도 문제로 지적됐다. 원 교수는 “누구든 뉴스를 만들어 전달할 수 있는 시대가 됐기 때문에 허위정보 확산 등의 문제가 생기게 됐다”고 진단했다.
임명호 단국대 심리학과 교수도 “유튜버들이 쌍방향적 소통이 가능한 유튜브라는 강력한 매체를 가지고 있지만 정작 제대로 이용하지 않고 가짜뉴스를 생산해 사회적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원 교수는 “남의 불행을 팔고 허위 정보를 올려 돈을 벌고 이익을 보는 사람들이 있다”며 “이로 인해 가짜뉴스 확산을 막기 위한 조치가 쉽지 않다”고 우려했다.
확인되지 않은 가짜뉴스로 인해 사건 당사자들은 2차 피해를 호소하고 있으며, 사건 본질에서 벗어나 ‘명예훼손’ 고소전으로까지 치닫고 있는 양상이다. 손씨 친구 A씨 측 법률대리인 정병원 법무법인 원앤파트너스 변호사는 “(가짜뉴스 가담자 중) 선처 메일이 총 1100여건 접수됐다”며 “악플러들을 상대로 대규모 고소를 본격적으로 진행할 것 같다”고 최근 밝혔다. 경찰도 가짜뉴스 유포자들에 대한 엄정 대응을 경고한 바 있다.
즉, 무분별한 가짜뉴스로 인한 사회적 손실을 막기 위해서는 가짜뉴스에 대한 법적 제재를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일부 전문가들은 몇몇 가짜뉴스들의 수준이 심각한 것은 사실이지만 결국 시간이 해결해 주는 문제라고 진단했다.
오윤성 순천향대 경찰행정학과 교수는 며 “현실세계에 사기꾼, 범죄자들이 있듯 사이버 세계에서도 당연히 그런 이들이 존재할 수 있다. 유튜브에서 나오는 몇몇 정보가 거짓이라고 표현의 자유를 완전히 제약할 수는 없다”며 “그러나 결국 말이 안 되는 내용을 계속 내보내게 되면 콘텐츠 시장에서 도태될 것”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