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군내 가혹행위·성범죄 등 병영부조리 예방을 위해 병영상담관제도를 확대·개편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장병들의 병영생활 상담을 맡고 있는 병영상담관은 일선 지휘관들이 알기 힘든 병영내 부조리를 사전에 파악해 예방하는데 큰 기여를 하고 있다. 그러나 일인당 2500여명에 달하는 장병을 맡는 등 인력부족과 열악한 처우에 시달리고 있다.
병영상담관 2544명당 한명 꼴
24일 국방부에 따르면 지난 2005년부터 제도가 도입돼 배치되기 시작한 병영상담관은 전국에 총 250명이 근무 중이다. 인원이 가장 많은 육군에 177명이 배치돼 있다. 이어 해군 39명, 공군 24명, 국방부 직할이 10명이다. 전체 장병수가 63만6000여명(2012년말 기준)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병영상담관 한 사람당 2544명을 담당하고 있다는 얘기다.
군은 병영부조리 개선대책의 일환으로 2017년까지 병영상담관을 357명으로 늘려 일반전초(GOP) 부대에도 한 명씩 배치한다는 계획이나 이마저도 상담 수요에 비해 턱없이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최장 5년 계약직…처우개선 이뤄져야
인력 확충과 함께 처우와 채용기간 개선이 선행돼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병영상담관에게 요구되는 엄격한 스펙에 비해 처우는 열악하다. 군 당국은 병영상담관 지원자격으로 5년 이상의 상담경력 또는 관련 학과 전공자 중 학사는 3년 이상, 석사는 2년 이상의 상담경력을 요구한다. 그러나 모든 병영상담관은 계약직이다. 국방부는 2년 기본근무에 1년 단위로 계약기간을 연장한다. 이마저도 3년까지만 연장이 가능하다. 길어도 5년을 근무하면 퇴직해야 한다는 얘기다.
국방부 관계자는 “계약직으로 병영상담관을 채용하고 있으나 5년 계약을 채울 경우 부대장 평가에 따라 무기계약직으로도 변경은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한창수 고려대 정신의학과 교수는 “기존 군대의 사고방식을 받아들이지 못하는 신세대 병사의 수가 늘어나고 있는 만큼 병영에도 민간 인력을 투입해 정신건강을 도울 필요가 있다”며 “전문가를 통한 정신 건강확립, 사회교육, 추후 사회적응을 도울 수 있도록 하는 전반적인 시스템이 조속히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