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에 따르면 5~9인 사업체의 임금은 300인 이상 사업체의 54%에 불과하다. 이는 통계청이 그제 발표한 ‘2022년 임금근로 일자리 소득 결과’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영리기업 중 대기업 근로자의 월평균 소득(591만원)은 중소기업 근로자(286만원)의 2.07배에 달했다. 이런 양극화가 한국 사회를 병들게 하는 근본 원인이 되고 있다. 상위권 대학과 대기업에 들어가기 위해 모든 것을 걸고 올인 경쟁을 펼쳐야 하는 것이 젊은이들의 현실이다. 대·중소기업의 복지 수준 차이도 크다. 대기업은 출산 휴가 등을 자유롭게 쓸 수 있는 데 비해 중소기업은 그렇지 못하다.
한국적 풍토병이 된 입시지옥과 취업 과열 경쟁을 해소하려면 대기업의 문을 넓혀야 한다. 대·중소기업 간 임금·복지 격차 해소 노력을 기울이는 한편으로 대기업 일자리를 늘려 나가야 한다. 이를 위해 대기업에는 과도한 규제를 풀고 중소기업에는 난립한 각종 지원 정책을 합리화해야 한다. 대기업 규제는 양질의 일자리를 막는 것임을 깨달아야 한다. 기업 규제 정책의 전면적인 재검토가 필요한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