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1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7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년 전보다 6.3% 올라 외환위기 당시인 1998년 11월(6.8%)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소비자물가는 지난 3월 4%대, 5월 5%대를 넘은 데 이어 6월과 7월 두 달 연속 6%대까지 치솟았다. 정부는 이달 물가 상승률은 6%를 넘지 않아 6%대 물가행진은 끊길 것으로 봤다.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 30일 KBS 뉴스9에 출연해 “7월에 (물가가) 6.3% 올랐는데, 8월은 6%를 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정부는 9~10월 물가가 정점을 찍은 뒤, 안정세에 접어들 것으로 예측했다. 하지만 그간 물가 급등세를 주도해온 휘발유 등 에너지 가격이 최근 들어 하락세를 보이면서 물가 정점이 당초 예측보다 빨라질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시스템 오피넷에 따르면 8월 넷째주(21일~25일) 전국 주유소 휘발유 평균 판매가격은 리터(ℓ)당 1743.8원으로 전주대비 35.4원 내린 것으로 나타났다.
|
추석을 앞두고 성수품 수요가 늘어나는 등 상방 압력이 여전해 소비자가 체감하는 물가 부담은 줄어들지 않고 있다는 점도 문제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에너지 가격 상승 폭이 일부 하락한 건 맞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이고, 인건비 등을 비롯한 각종 비용은 계속 오르고 있다”면서 “전반적인 물가 상승 압력이 존재하는 가운데 경기부진 우려로 충분한 유동성 회수도 하지 못하는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추석을 앞두고 국민들이 필수적으로 구매해야 하는 제품 가격은 요지부동이어서 국민들이 체감하는 물가 수준은 여전히 높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정부는 당분간 물가 안정을 중점으로 재정정책을 펼쳐 나가겠다는 방침이다. 추 부총리는 지난달 25일 내년도 예산안 편성 상세브리핑에서 “경제를 운용함에 있어서 고물가 양상이 계속되고 있다”면서 “당분간은 물가와 민생 안정에 중점을 두고 있다”고 언급했다. 그는 이날 소비자단체와 가진 간담회에서는 “고물가의 고착화 방지를 위해 물가감시자로서 소비자단체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면서 “근거 없는 가격 인상이나 독과점 시장 불공정행위 등에 대한 활발한 감시 및 견제 활동을 해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