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이 내놓은 ‘종합부동산세의 국제 비교 및 시사점’ 보고서를 보면, 우리나라의 GDP 대비 부동산 보유세 비중은 2010년 0.7%에서 2017년 0.78%로 0.08%포인트 증가에 그쳤으나 현 정부가 출범한 2017년부터 2021년(1.22%)까지 0.44%포인트 커지며 OECD의 평균 수준(1.07%)을 넘어선 것으로 추정됐다. 보고서는 “98%의 국민은 종부세와 무관하다고 하지만, 2%의 납세자는 사실상 세대주 기준이고 이에 영향받는 세입자들까지 고려한다면 종부세의 영향을 받는 국민은 훨씬 많을 것”이라며 “소득은 한정돼 있는데 세금이 증가하면 반전세·월세 등으로 전환할 수밖에 없고 전세 물량이 줄어들면 전세 가격 또한 올라가는 만큼 ‘조세 전가’는 분명한 사실”이라고 했다.
늘어난 종부세가 세입자에게 전가된다면 왜곡된 임대차 3법과 함께 임차인의 부담을 늘려 전·월세 시장에 연쇄적으로 악영향을 줄 것이라는 게 한경연의 분석인 셈이다.
임 부연구위원은 “종부세의 완화와 함께 부동산시장의 가격 안정 및 활성화를 위해 과도한 거래세 및 양도소득세도 인하해야 한다”며 “수많은 부동산대책의 일환으로 거래세 및 양도소득세가 높게 설정돼 있어 부동산시장의 거래경색을 유발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했다. 2018년 기준 ‘GDP 대비 부동산 관련 세금 비중’이 3.66%로 OECD 평균보다 2.2배나 세 부담이 크고 전체 3위 수준인 만큼 부동산 관련 세금의 전체적인 완화 내지 인하가 필요하다는 의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