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30세대(25~34세)가 문재인 정부의 경제·일자리 정책에 낙제점을 줬다. 특히 많은 청년이 현 정부가 청년 일자리·복지 정책 성격으로 추진해 온 공무원·공기업·공공기관 인력 확충과 최저임금의 급격한 인상에 부정적이었다. 이제라도 소득주도성장 정책에 대한 궤도수정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있었다.
현 일자리 정책 …실패 47% vs 성공 13%
이데일리가 마크로밀엠브레인에 의뢰해 지난 8월30일~9월5일 이레 동안 전국 만 25~34세 800명을 대상으로 현 정부의 일자리 만들기 정책에 대해 설문조사한 결과 실패했다는 응답이 47.2%(매우 실패 20.1%·약간 실패 27.1%) 에 달했다. 성공 평가 12.8%(약간 성공(11.5%)·매우 성공(1.3%))보다 네 배나 많다. 나머지 40.0%는 ‘그저 그렇다’고 중립적인 평가를 내렸다.
성별과 지역, 취업여부와 직종, 학력, 진보·보수 성향을 떠나 부정 평가가 압도적으로 많았다. 여성보다는 남성, 진보·중도 성향보다는 보수 성향의 부정 평가가 많았으나 평가가 부정적인 건 마찬가지였다. 본인이 진보라고 생각하는 청년 역시 현 정부의 고용정책에 대해선 부정(36.4%)이 긍정(20.1%)보다 많았다. 이번 설문조사의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46%포인트다.
앞서 지난 11일 통계청이 발표한 8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취업자 수는 전년동월 대비 45만2000명 증가해 29개월만에 최고 증가 폭을 보였다. 특히 15~64세 기준 고용률은 67.0%로 역대 최고치, 실업률은 3.0%로 1999년 8월 기준 최저 수준을 기록하자 정부는 얼어붙었던 고용시장에 온기가 돌아오고 있다고 분석했다.
|
2030세대는 현 정부의 일자리 정책에 변화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특히 취업난의 근본적인 해결을 위해선 공무원 증원보단 민간기업, 특히 중소기업 지원을 늘려야 한다고 지적했다.
많은 구직자가 공무원·공공기관 취업을 꿈꾸지만 그렇게 할 수 없는 현실을 반영한 모습이다. 실제 이번 조사에서도 구직 중인 응답자 중 희망하는 직업을 묻는 질문에 가장 많은 26.7%가 공무원이라고 답했으나 실제 취업한 응답자 중 공무원 비중은 7.1%에 그쳤다.
서울 소재 한 중소기업 근로자(29·여)도 “국가기관이나 공무원 일자리 늘리는 건 현재만 바라보는 대안”이라며 기업 근무여건 개선을 위한 대책 마련을 호소했다.
최저임금의 직접적인 수혜자임에도 이에 대한 부정적인 청년들이 적지 않았다. 이들은 일자리 정책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최저임금 인상을 최소화하거나 동결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충남의 한 시간제 근로자(29·남)는 “최저임금의 급격한 인상으로 아르바이트 자리도 구하기 어렵게 됐다”고 말했다. 충남 중소 제조기업 관리팀 직원이라는 한 응답자(25·여)는 “최저임금 인상 이후 연봉이 동결되거나 잘리는 근로자가 늘고 있다”고 지적했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2030세대는 최저임금 인상 등 현 정부의 노동비용 증가 정책으로 고용에 가장 큰 타격을 본 세대”라며 “이를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이어 “청년도 대안이 없기에 공무원을 준비하지만 이게 우리 경제를 지속 가능하게 할 수 없다는 걸 잘 알고 있다”며 “정부도 현금성 지원 정책을 멈추고 시장 매커니즘 회복을 통해 지속 가능한 기업 일자리가 늘어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