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은 채권단이 하이닉스 지분매각을 통해 '새 주인'을 찾겠다는 의지를 나타냈지만, 차선의 경우 포스코형 지배구조로도 갈 수 있는 것 아니냐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하이닉스(000660) 고위 관계자는 15일 "내부적으로 회사의 지배구조가 포스코형으로 갈 수도 있는 상황을 생각해봤다"면서 "예전 외부에서 의뢰가 들어와 포스코형 지배구조 전환을 위한 시뮬레이션을 돌려보기도 했다"고 말했다.
그는 또 "반도체산업을 회사의 신성장 동력으로 키우겠다는 확실한 의지가 있는 기업이 하이닉스의 대주주가 돼야 한다"며 "M&A 게임을 통해 이익을 보겠다는 기업은 절대로 하이닉스의 주인이 될 수 없다"고 강조했다.
하이닉스 경영진은 포스코가 공기업에서 민형화된 이후 이사회를 중심으로 회사를 경영하고 있는 만큼 이를 하이닉스 지배구조로 벤치마킹 하는 방안도 고려중이다. 특히 포스코는 외국인 지분이 현재 62.28%를 넘어섰지만, 정부가 금융기관을 통해 해외 적대적 M&A 세력으로 부터 경영권을 방어해 주고 있어, 하이닉스로선 경영권 위협에 따른 부담을 줄일 수도 있다는 생각이다.
우 사장은 지난 10일 중국 우시(無錫)에서 개최된 하이닉스-ST 합작법인 준공식 이후 기자단과의 간담회에서 "지금은 지배구조의 변화를 생각할 때로, 어떤 투자자가 들어오느냐가 중요 한 문제"라며 "(채권단이 대주주로 있는) 하이닉스의 현재 지배구조에 변화가 없어도 좋다"고 말했다.
그는 또 "각 회사의 사업 성격이나 환경 등에 따라 다양한 지배구조가 가능하다"고 전제하고 "지배구조에 우열이 있어 반드시 특정 지배구조가 다른 지배구조보다 더 우수하다고 생각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그는 특히 "지금 (채권단이 지분을 소유하고 있는 지배구조)그대로 간다고해서 하이닉스에 어떤 변화나 영향은 없다"고 밝혀 효율적인 새 주인이 나타나지 않는 이상 무리한 지분매각 작업은 필요하지 않다는 점을 강조했다.
특히 "하이닉스는 이제 확실한 대주주가 없더라도 외부 변수에 흔들리지 않고 정상 기업으로서 사업을 영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해, 포스코형 지배구조에 대한 자신감을 나타냈다.
하지만 채권단은 반도체 경기가 호황국면으로 접어들고 있는 만큼 이 기회를 이용해 최대한 높은 가격에 보유중인 하이닉스 지분을 매각, 투자자금을 조기에 회수한다는 원칙을 갖고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김창록 산업은행 총재는 지난 9월18일 IMF·세계은행 연차총회에서 "내년 말까지 하이닉스 지분의 36%를 인수할 잠재적 매수자를 찾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