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런데 재계 안팎에선 한중 우호의 상징인 푸바오가 중국으로 가버리면 한중 관계 개선이 더 요원해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 섞인 목소리가 나온다. 서먹한 외교 관계를 넘어 민간 차원에서의 교류마저 맥이 끊긴다면 꼬여 있는 실타래를 풀기 어려워질 수도 있다는 시각이다. 지나친 확대 해석일 수도 있지만 현재 한국을 둘러싼 글로벌 환경을 놓고 본다면 기우가 아닐 수 없다. 실제 올 1~8월 대중 무역수지 누적 적자는 155억9500만달러로 일본를 추월하며 중동에 이어 우리나라의 2위 무역적자국이 됐다. 같은 기간 대중 수출 비중도 고점 대비 7%포인트가량 하락한 20% 수준까지 하락했다.
이런 상황에서 지난 7일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 정상회의에서 윤석열 대통령과 중국 2인자인 리창(李强) 중국 총리의 한중 회담은 양국 관계 개선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다. 미·중 갈등 격화 속 중국과의 의미있는 관계 개선이 시급해서다. 미국은 이미 중국이 미치는 경제적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탈중국을 연상시키는 ‘디커플링’ 대신 디리스킹(de-risking) 정책으로 선회했다. 독일·프랑스도 중국에 에어버스·선박 판매 등 실리외교에 나서고 있다. 우리 정부 역시 중국발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발 빠른 대응에 나서야 한다. 커지는 미·중 기술패권 경쟁에서 우위를 다질 수 있도록 국가첨단전략산업에 보조금 등 전폭적인 지원을 해야 하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반도체, 이차전지, 디스플레이 등 국가첨단전략산업은 심화하는 미·중 패권 전쟁에서 우리 목소리를 낼 수 있는 전략적 자산이기 때문이다. 미·중 모두 한국을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국가첨단전략산업 육성에 모든 역량을 쏟아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