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욕타임스(NYT)는 지난달 ‘아무도 안전하지 않다(No One is Safe)’는 제하의 기사에서 최근 수년 간 급증하고 있는 기후재앙에 대해 이같이 진단했다. 신문은 “홍수가 독일을 휩쓸고 화재와 폭염이 미국 서부를 황폐화시켰다. 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국가들조차 심화하는 기후변화에 대비하지 못하는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이는 뒤집어 얘기하면 개발도상국이나 저소득 국가들은 아예 기후변화 위기에 그대로 노출돼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 글로벌 재보험회사 스위스 리 연구소(Swiss Re Institute)는 지난달 기후변화에 따른 경제적 영향 보고서를 발표하며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 경제는 기후변화와 관련된 물리적 위험에 가장 취약하다”고 분석했다.
이미 기후변화는 현실이 됐다. 최근 수년 간 폭우·홍수·폭염·가뭄·산불 등 기후재앙이 전 세계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다. 피해 지역 및 규모도 점차 확대되고 있다. 선진국에선 막대한 공적 자금이 피해 복구에 투입되고 있으며 저소득 국가에선 기후난민이 대거 발생하고 있다.
스위스 리 연구소 역시 현 수준의 기후변화 대응으로는 2050년 지구 기온이 2.6℃ 상승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 경우 파리기후협정 목표가 달성됐을 때보다 전 세계 국내총생산(GDP)이 최대 10% 줄어들 것이라고 추산했다. 파리기후변화협정의 최소한의 목표인 2℃ 미만 상승을 달성하더라도 세계 GDP는 4.2% 줄어 경제적 손실이 불가피할 것이란 전망이다.
위기의식을 느낀 선진국들은 일찌감치 기후변화와 관련한 기술 혁신에 돈을 쏟아붓고 있다. 규제 측면에서도 선제적으로 채비를 갖추기 시작했다. 유럽연합(EU)은 탄소국경세 도입 예고가 대표적인 사례다. 미국도 관련 논의를 본격화하고 있다. 본격 시행되고 나면 개도국과 저소득국은 경제적으로 막대한 피해가 예상된다.
한국 역시 예외가 아니다. 혁신이든 규제든 제대로 기후변화에 대비하지 못할 경우 글로벌 경제에서 순식간에 도태될 수 있다. 가디언은 “탄소감축은 여러 산업의 운명을 좋게든 나쁘게든 극적으로 바꾸게될 것”이라며 “새로운 승자와 패자가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