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전선형 기자] 보험계약을 할 때 두꺼운 책자의 ‘보험약관’을 받은 경험이 있을 것이다. 보험약관은 소비자와 보험사간의 실질적인 계약서지만, 소비자들은 ‘약관은 어렵다’는 막연한 생각에 열어보지 않는 게 일반적이다.
생명보험협회는 소비자들이 보험계약 후 분쟁이나 불이익을 피하기 위해서는 보험약관의 주요 내용을 반드시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고 조언한다. 특히 △보험약관의 교부·설명의무 △계약 전 알릴의무 △보험계약의 청약 및 청약철회 △보험계약의 부활 등의 내용은 반드시 챙겨봐야 한다는 설명이다.
보험약관은 보험회사가 일방적으로 작성해 교부하기 때문에 보험계약자가 계약의 내용을 잘 알 수 있도록 보험사에게 보험약관의 교부의무와 중요한 내용에 대한 설명의무를 부과하고 있다. 만약 보험회사가 보험계약자에게 보험약관을 전달하지 않거나, 약관의 중요한 내용을 설명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보험계약자가 계약이 성립한 날로부터 3개월 이내에 그 계약을 취소할 수 있다. 계약이 취소된 경우 회사는 계약자에게 이미 납입한 보험료 전액을 반환해줘야 하며, 보험료를 받은 기간에 대해 보험계약대출이율을 연단위 복리로 계산한 금액을 더해 지급해야 한다.
계약 전 알릴 의무는 소비자의 의무사항이다. 보험계약자나 피보험자가 청약 때 청약서에 질문한 사항에 대해 반드시 사실대로 알려야 하는 의무다. 보통 피보험자의 현재 및 과거의 질병, 직접 운전여부 등이 중요한 알릴 의무 대상이 된다. 만약 중요한 사항에 대해 사실과 다르게 알린 경우, 계약을 해지하거나 보장을 제한할 수 있다. 보험사가 계약 전 알릴 의무 위반을 이유로 보험계약을 해지했을 때는 납입한 보험료보다 적은 해지환급금을 지급하게 되며, 보장을 제한했을 때는 보험료 및 보험가입금액이 조정될 수 있다. 다만, 다른 보험가입 내역에 대한 계약 전 알릴 의무 위반을 이유로 계약을 해지하거나 보험금 지급을 거절할 수는 없다.
생명보험의 경우 일반적인 제조상품에 비해 보험계약자와 보험회사간 정보 비대칭성이 높고, 장기간에 걸친 계약이라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계약 체결 후에도 본인이 청약한 계약에 대해 철회할 수 있는 기간을 부여하고 있다. 일반계약은 보험증권을 받은 날로부터 15일 이내에 청약철회가 가능하다. 다만, 진단계약, 전문보험자가 체결한 계약, 보험기간이 1년 미만인 계약은 청약철회가 불가능해 주의해야 한다. 약관에서 정하는 기간 내에 청약을 철회한 경우 보험회사는 접수일로부터 3일 이내에 납입한 보험료를 돌려줘야 하며, 반환이 늦어진 기간에 대해서는 보험계약대출이율을 연 단위 복리로 계산한 금액을 더해 지급한다.
보험계약의 부활 조항도 알아두면 좋다. 보험료 납입연체로 계약이 해지된 경우, 연체보험료를 납입하면 종전의 계약이 해지되지 않았던 것과 같은 효과를 발생시키는 제도다. 보험계약자는 해지된 날부터 3년 이내에 회사가 정한 절차에 따라 계약의 부활을 청약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