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마트폰 잠금 해제나 결제 등에 지문을 활용하는 경우가 많아지면서 휴대폰 제조사들은 앞다퉈 스마트폰의 홈 버튼(home button)에 지문 인식 기능을 추가하고 있다. 여기에 스마트폰 화면 크기를 키우려는 시도가 늘면서 ‘디스플레이 지문 인식’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디스플레이 지문 인식은 화면에 손가락을 대는 것만으로 지문을 식별하는 기술이다. 지문 인식 방식에 따라 광학식, 초음파식, 정전식으로 나뉘는데 광학식과 초음파식 지문 센서를 디스플레이에 적용하려는 시도가 종종 공개됐다.
박장웅-변영재 교수팀은 투명전극의 전도도를 높이기 위해 은 나노섬유(silver nanofiber)와 은 나노와이어(silver nanowire)를 결합했다. 투명전극의 재료로 쓰이는 두 물질은 각기 장점이 다르다. 은 나노섬유는 듬성듬성하지만 전도성이 좋고 은 나노와이어는 전도성이 낮지만 촘촘하다. 둘의 장점을 취한 ‘은 나노섬유-은 나노와이어 하이브리드 투명전극’은 전도도가 높고 잘 유지되는 특성을 보였다. 기존에 비하면 10배 가량 전도도가 높았고 50마이크로미터(㎛·1㎛는 100만 분의 1m) 수준의 패턴을 만들어도 끊어지지 않아 전도도가 유지됐다.
연구진은 하이브리드 투명전극으로 기존에 비해 민감도를 17배가량 높인 지문 센서를 제작했다. 이 지문 센서는 1㎒의 고주파수 대역에서 1V 정도의 낮은 전압에서도 구동 가능했다. 투명전극의 전도도가 높아진 덕분에 성능이 크게 향상된 것이다.
박장웅 UNIST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투명하고 유연한 지문 센서’는 정전식 지문 인식의 문제점을 해결한 기술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며 “상용화된 디스플레이 뿐만 아니라 유연한 차세대 디스플레이가 쓰이는 다양한 기기의 보안성 강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 저명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 3일자 온라인판에 발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