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기업 임원 출신인 이민수(47·가명)씨는 임대사업용으로 갖고 있는 서울 행당동 중소형(전용 82㎡) 아파트를 보증금 5000만원, 월 180만원에 월세로 내놓았다. 그런데 넉달째 세입자를 구하지 못하자 얼마 전 월세를 10만원 내리기로 한 것이다. 이씨는 “행당동과 왕십리 일대에 월세 아파트가 너무 많고 월 임대료를 5만~10만원씩 낮추는 곳도 생겨나 어쩔수 없이 값을 깎기로 했다”고 말했다.
서울·수도권 전·월세시장이 심상치 않다. 집값 하락으로 수요가 늘어난 전세시장은 전세 재계약 선호 등으로 공급이 줄면서 가격 상승세가 가파르다. 반면 월셋값은 하락세가 뚜렷하다. 저금리 영향으로 전세의 월세 전환이 늘면서 공급은 증가했지만, 수요가 뒷받침되지 않고 있는 게 가장 큰 이유다.
전셋값 ‘강세’ vs 월셋값 ‘약세’ 뚜렷
22일 부동산 정보업계에 따르면 올해 초 대비 전셋값은 서울(3.25%)과 수도권(3.37%), 지방(2.5%)이 모두 오르면서 전국 평균 3.05% 상승했다. 서울에서는 강북구가 8.65%로 가장 많이 올랐다. 성동구(6.43%)와 송파구(4.46%) 등이 그 뒤를 이었다.
반면 리센츠 아파트 전용 84㎡형 월세는 올해 초 보증금 1억원을 기준으로 월 190만~200만원에서 월 170만원으로 최고 15%가 내렸다. 이남수 신한은행 부동산팀장은 “저금리 기조와 주택 침체 장기화에 따른 전세값 상승으로 ‘반전세’나 보증부 월세의 공급이 많아진 게 월세 하락의 원인”이라고 말했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과 한국감정원 통계를 봐도 월세 거래량은 지난 2월 3413건에서 지난달 2432건으로 30% 줄고, 가격은 지난달 기준으로 올 들어 0.6%가 떨어졌다. 월세는 공급은 많지만 수요가 없어 가격 하락은 물론 거래량까지 감소하는 이중고를 겪고 있는 것이다.
전세가율(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이 60%선에 근접하면 전세가 매매로 전환된다는 공식도 더 이상 통하지 않고 있다. 국민은행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아파트 전세가율은 56.7%로 2002년 11월(56.3%) 이후 최고 수준이지만 시장은 요지부동이다.
“임대차 시장 양극화 갈수록 심화”
올해 하반기에도 ‘전세 강세, 월세 약세’ 현상을 해결할 뚜렷한 대책은 없어 보인다. 전세 수요를 줄이거나 공급을 늘릴 뾰족한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 함영진 부동산114리서치센터장은 “전세 수요를 줄이기 위해선 매매시장이 활성화돼야 하는데, 집값 상승 기대감이 사라져 거의 불가능하다”며 “다주택자에 대한 양도세 중과 폐지가 지지부진 한 것도 민간 공급 확대를 막고 있다”고 지적했다. 박합수 국민은행 부동산팀장은 “전세 수요를 매매로 전환할 수 있도록 시장 활성화 대책이 추가로 나와야 한다”고 말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