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냉키 의장은 또 주택차압 지원책과 관련해 지금은 `모럴 해저드(도덕적 해이)`를 따지기보다는 공공의 이익 측면에서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
버냉키 의장은 "국유화는 정부가 은행을 인수해 일반주주들의 주권을 소각하고, 은행을 경영·관리하는 것을 의미한다"며 "정부는 이같은 계획을 전혀 갖고 있지 않다"고 강조했다.
◇ 버냉키 "은행 국유화 결코 없다"
버냉키의 이같은 언급은 정부가 일부 지분을 보유한 은행들에 대해 감시와 감독을 엄격히 하겠지만, 경영권을 몰수하는 `국유화`까지는 진행하지 않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버냉키는 하루전 상원 은행위원회 청문회에서 "최악의 시나리오로 예상했던 손실이 현실화할 경우에만 정부가 은행들의 `경영권` 을 확보할 것"이라고 언급, 지금 당장 은행들의 국유화가 진행되지 않을 것임을 간접적으로 시사했다.
버냉키는 또 새로운 자본적정성 평가프로그램인 소위 `스트레스 테스트` 시행과 관련해선 "스트레스 테스트를 거친 은행중 일부는 새로운 자금지원이 필요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 주택차압 지원, `모럴 해저드`보다 `공공이익`이 우선
버냉키는 "공공 정책의 관점에서 보면, 대규모 주택차압은 단지 주택소유자에게만 문제가 되는 것이 아니라 대출기관과 더 나아가 금융시스템에도 해악을 끼치게 된다"고 말했다.
그는 이에 따라 지금은 `모럴 해저드 이슈`를 따지기 보다는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의 관점에서 주택차압 방지를 위해 구제자금 지원에 나서야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미국 주택시장에선 차압물량이 쏟아지면서 주택가격이 연일 급락하고 있다. 이같은 집값 하락은 추가적인 차압과 금융기관 손실로 이어지면서 미경제 회복의 큰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이 때문에 미 정부는 최근 750억달러 규모의 주택차압방지책을 발표했다. 이 대책은 모기지를 기존보다 낮은 금리로 차환하거나 월납입액을 감면해줌으로써 치솟고 있는 주택차압의 고삐를 잡겠다는 것이 기본 골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