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업도 정부의 이 같은 의지에 호응해 대규모 투자를 추진한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2042년까지 용인·평택 특화단지에 시스템·메모리 반도체 생산 거점을 조성하기 위해 총 562조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SK실트론과 LG이노텍, 원익큐앤씨는 구미 특화단지에 4조7000억원을 투자해 실리콘 웨이퍼나 반도체 기판 공장을 짓는다. 정부는 이 같은 프로젝트로 메모리 반도체 세계1위를 지키고 시스템 반도체는 점유율은 현재 3%에서 2030년까지 10%로 끌어올린다는 목표다.
|
한덕수 국무총리 2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3차 국가첨단전략산업위원회 모두발언에서 “정부는 반도체 등 첨단전략산업의 초격차 확보를 국정의 최우선 과제로 정해 국가적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며 “특화단지가 세계적으로 압도적인 제조역량을 갖춘 글로벌 혁신클러스터로 조기에 도약할 수 있도록 전방위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했다.
이날 지정된 7개 특화단지는 분야별로 반도체는 용인·평택, 구미, 디스플레이는 천안·아산, 이차전지는 청주, 포항, 새만금, 울산이다. 지난 5월 국가첨단전략산업으로 신규 지정된 바이오 산업은 신청 기한을 놓쳐 이번 특화단지에선 빠졌지만 올해 하반기 특화단지 공고를 통해 내년 상반기 지역을 선정할 계획이다.
정부는 이들 특화단지에 민간투자가 적기에 이뤄질 수 있도록 지원한다. 특히 인허가는 국가첨단전략산업 특별법에 따라 인허가 타임아웃제를 적용한다. 이는 지자체 등에서 60일 내 인허가 처리가 안되면 처리한 것으로 간주해 인허가가 빨리 될 수 있도록 했다.
주영준 산업통상자원부 산업정책실장은 지난 19일 사전브리핑에서 “특별법을 통해 지자체에서 60일내 인허가와 관련해 회신이 없으면 동의한 것으로 간주한 것으로 기존 신속처리 조항보다 더 강한 지원책”이라며 “예산 역시 특화단지는 가급적 올해 예산에 반영해 내년에 일부라도 투입 가능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했다.
|
아울러 서울대(회로·시스템, 소자·공정), 부산대(차량반도체), 경북대(소부장) 등 지역별로 국가첨단전략산업 특성화대학 8곳을 지정하고 융복합 교육과정 설계, 우수교원 확보, 실습 교육환경 구축 등을 위해 올해 총 540억원을 지원한다.
한편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 주재로 열린 소부장 경쟁력강화위원회는 이날 광주(미래차), 대구(미래차), 충북 오송(바이오), 부산(반도체), 경기 안성(반도체) 등 5개 특화단지를 추가 지정하기로 했다. 이번 특화단지 조성에 약 6조7000억원의 기업 신규투자가 이뤄질 예정이다.
이창양 산업부 장관은 “오늘 발표한 7개 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와 5개 신규 소부장 특화단지가 국내 소부장 생태계 조성과 글로벌 경쟁력 확보에 상호보완적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 운영할 계획”이라며 “특화단지들이 우리 경제의 강력한 성장엔진이 될 수 있도록 각종 인허가, 인프라, 연구개발 등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