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재부 “금융쇼크, 최소 6월까지 지켜봐야”
1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은 지난달 31일 오후 8시(한국시간) G20 의장국인 사우디 주재로 열린 제2차 G20 특별 재무장관 및 중앙은행총재 화상회의에서 “글로벌 금융안전망 강화를 위해 시급한 과제”라며 “중앙은행 간 스와프 확대를 적극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홍 부총리가 코로나19 발병 이후 열린 G20재무장관회의에서 통화스와프 확대 필요성을 공개적으로 제기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홍 부총리는 “회원국, 국제통화기금(IMF) 등과 함께 가능한 모든 수단을 검토해 4월 재무장관회의에 구체적 제안을 제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4월 재무장관회의는 오는 15일 화상회의로 열린다.
통화스와프는 서로 다른 통화(화폐)를 사전에 약정된 환율에 따라 교환(swap)하는 외환 거래다. 외화가 바닥나는 등 유동성 문제가 발생했을 때 자국 통화를 상대국에 맡기고 외화를 가져올 수 있다. 외환 추가 확보와 함께 국제사회의 우려도 덜 수 있어 ‘외화 안전판’으로 불린다.
우리나라는 미국·캐나다·스위스·중국·호주·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아랍 에미리트(UAE) 등 8개국과 양자 간 통화스와프를, 아세안 등 13개국과 다자 간 통화스와프를 맺은 상황이다. 지난달 19일에는 600억달러 규모의 한미 통화스와프가 10년 만에 체결됐다.
그럼에도 홍 부총리가 통화스와프 확대 필요성을 제기한 것은 금융충격이 재발할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
해외에선 신흥국들의 부도 위험이 커지고 있다.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IMF 총재는 지난달 27일 온라인 언론 브리핑에서 “50개 신흥국과 31개 중간 소득국들로부터 지원 요청과 문의를 받았다”며 “(현 경기침체 상황이)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만큼 나쁘거나 더 나쁠 것”이라고 전망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앙골라, 나이지리아, 에콰도르, 베네수엘라, 레바논 등을 고위험국으로 지목했다.
“韓 자구노력 없이 통화스와프 확대 힘들어”
신흥국들이 IMF 외환위기 때처럼 연쇄적으로 부도 사태가 나면 한국경제에도 악영향이 불가피하다.
하지만 700억달러 규모까지 체결됐던 한일 통화스와프는 2015년에 종료된 상태다. 미국과 통화스와프가 체결됐지만 오는 9월19일에 만료된다. 중국과의 통화스와프(3600억위안·560억달러)도 오는 10월10일 만료된다.
기재부 관계자는 “지금은 금융시장에 지속적으로 안정적인 시그널(신호)를 주는 게 중요한 시기”라며 “선제적으로 최대한 통화스와프 체결 규모·국가를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통화스와프를 확대하려면 국제공조와 함께 국내 구조개혁을 동시에 추진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2008년 금융위기 당시 청와대 재정경제2비서관을 맡았던 김준경 한국개발연구원(KDI) 전 원장은 “앞으로 외국 투자자들과 국제 신용평가기관들이 한국 기업의 부실 가능성, 금융시장 전반의 펀더멘털(기초체력)을 주시할 것”이라며 “우리 기업들이 자구노력을 먼저 보여줘야 해외에서 제기되는 우려를 덜 수 있다. 선제적인 노사정 대타협, 고통분담 없이 통화스와프를 확대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지적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