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금융시장은 지난 10년간 은행 위주 간접금융시장이 중심이었다. 그것도 기업금융이 대부분이고 소매금융은 부동산 담보대출 정도만을 취급하는 등 초보 단계에 머물렀다. 자본시장은 비유통주 개혁으로 주식시장이 새로운 면모를 갖추긴 하였으나 기업공개(IPO) 중단 등 아직 안정성이 떨어지고 채권시장 등 기타 자본시장업계도 수요 대비 자본 공급 규모는 미미하다.
중국은 과거 연평균 8% 이상 고속 성장기를 누려왔다. 고성장시기는 자금초과수요로 높은 대출금리가 정상이다. 과거 한국도 10%~20%를 수준이었다. 그러나 중국은 금리규제로 은행권 공식 대출금리가 5~7%대로 낮은 수준에 머물러 기업 입장에서는 저리의 은행대출 받는 것이 기업 성패의 관건이었다. 시장 전체 유동성 공급은 충분했지만 국유대형기업에 자금집중화 현상이 일어나 중소기업 융자난 등 자금 불균형 현상이 심해졌다. 이에 따라 제도권금융과 연리 60%를 웃도는 비 제도권금융 간에는 엄청난 금리 차가 존재하는 시장이 형성됐다. 담보회사, 소액대출회사, 리스회사, 신탁회사, 전당포 등 고리 융자기구가 은행 대체재로 등장하면서 그림자 금융의 문제점을 낳았다.
중국은 특히 최근 5년간 투자 대상의 한계로 자금이 부동산에 몰리는 과열 현상을 불러왔으며 주식시장 침체는 아직도 계속되고 있고 70%가 넘는 국가 자산을 소유한 국유기업은 세력화됐다. 은행 중심의 금융 체계는 개선되지 못했으며 민간 기업과 중소기업 융자난은 심각해지고 있다. 상황이 이렇자 새 정부는 해결책으로 금융시장의 개혁을 핵심 과제로 삼고 있다.
이에 따라 과거 개혁개방 시기의 접근방법과 마찬가지로 금융 개혁도 점진적 과정을 거치게 될 것이다. 이전과는 달리 잃을 것이 많아진 현재 상황에서 중국 정부는 조심스러운 태도를 보일 가능성이 크다.
중국이 실험할 금융 개혁의 핵심은 금리자유화, 환율제도 개혁 및 위안화 국제화, 자본계정 개방으로 요약할 수 있다.
환율제도의 개혁은 위안화 국제화와 자본 자유화의 필수 조건이다. 장기적으로는 현재 지속적으로 절상되고 있는 위안화를 쌍방향으로 변동하도록 해 균형을 이루게 할 것이며 이는 단기투기자금 유입의 억제 효과도 불러올 수 있다.
자본계정의 개방은 국내외 자본의 자유로운 출입을 뜻하며 중국 기업의 자금조달 통로와 이익창출 폭을 넓히는 한편 외자 금융기관에도 더욱 많은 기회를 준다. 또한 위안화 자유 태환을 통해 위안화의 국제화에 한 발 더 다가서는 계기를 마련해 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