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영철 중소벤처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29일 이데일리와 통화에서 “1300원 후반에서 1400원대가 환율의 뉴노멀(새로운 표준)이 될 것”이라면서 “정부가 직·간접적 개입을 통해 조정은 할 수 있으나 대세는 바꾸기 어렵다. 결국 환율을 끌어내리는 것보다 중요한 건 환율 변동성을 관리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중소기업의 환위험 관리가 더욱 중요해졌다고 입을 모았다. 과거에는 환율 상승이 수출 기업에 호재로 여겨졌지만 글로벌 경영 환경 변화와 공급망 재편 등으로 과거의 공식이 유효하지 않다는 판단에서다. 수출 기업뿐 아니라 내수 위주 기업도 환율에 따른 타격이 불가피한 만큼 더 많은 기업에서 환율 변동성을 적극적으로 관리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추문갑 중소기업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그동안 우리나라는 고환율이 수출 기업에 기회라는 식으로 접근했지만 최근에는 수출 증대 효과는 거의 없고 수입 비용만 증가했다”며 “국내 중소기업 대부분이 원자재를 수입해 가공한 뒤 판매하는데 원자재 가격 상승분을 판매 가격에 반영할 수 없기 때문”이라고 했다. 송 연구위원도 “영세 중소기업들은 환차손·차익에 대한 파악조차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
송 연구위원은 “환 헤지(환율 위험 분산) 상품도 대부분 수출 기업이 가입 대상”이라며 “정부 차원에서 다양한 환 헤지 상품을 마련하고 일선 기업에 대한 리스크 관리 교육과 훈련, 인식 전환 등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종덕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무역통상안보실장은 “정치적 안정화가 가장 중요하다”면서 “비축물자 확대나 정부 지원으로는 한계가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환율 상승은 광범위한 분야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몇 개 품목, 몇 개 기업에 대한 지원으로는 해결되기 어렵다”고 말했다.
이인호 한국경제학회 명예회장도 “정치적 요인 때문에 유독 원·달러 환율이 크게 움직인 건데 이런 상황에서 정부의 재정 투입은 국가 신뢰 회복에 도움되지 않는다”면서 “시장이 어렵다는 메시지를 줄 수 있어 조심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그러면서 “환율에 취약한 중소기업 집단을 특정해 리스크 관리 교육을 하고 환 헤지 상품을 개발하는 방식으로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