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3월 31일 열린 제57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에서 “유류세 인하폭 확대 여부에 대해 막바지 점검 중”이라며 “할당관세 적용품목 확대 등 추가대책을 포함해 다음 주 물가관계장관회의에서 확정·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소비자물가의 전년동월대비 상승폭이 5개월째 3%대를 기록하는 등 물가 상승세가 지속되자 홍 부총리는 2017년 1월 이후 5년여 만인 3월 4일 물가관계장관회의를 개최한 바 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에너지·곡물가격이 상승하는 등 물가 변동성이 커지자 4월 5일 다시 물가관계장관회의를 열어 물가 안정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지금도 유류세는 20% 인하 조치를 적용 중이다. 당초 4월 말까지였으나 7월 말로 3개월 연장했다. 이에 따라 휘발가격은 ℓ당 164원, 경유 116원, 액화석유가스(LPG) 부탄은 40원씩 인하 효과가 있다.
홍 부총리도 “유가 등 에너지 가격과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국내외 물가 상승압력이 고조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인수위도 정부에 유류세 인하폭 확대를 촉구했다. 최상목 인수위 경제1분과 간사는 3월 31일 브리핑에서 “물가 부담을 조금이라도 덜어줄 수 있도록 유류세 인하폭을 현행 20%에서 30%로 추가 인하할 것을 정부에 요청한다”고 밝혔다.
문제는 유류세 인하에 따른 세수 감소다. 정부에 따르면 이미 7월까지 유류세를 20% 인하하면서 줄어드는 세수는 1조4000억원 정도다. 최 간사는 “인하폭을 10% 확대하면 추가로 7000억원의 세수 감소가 발생한다”고 말해 2조1000억원 규모 세수가 줄어들 것으로 추정했다.
다만 4월부터 전기·가스 등 공공요금이 오르며 물가 부담을 키우고 있는 만큼 정부도 인하폭 확대를 신중히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
지난 28일 국고채 10년물 금리가 3.031%로 7년 6개월 만에 3%를 돌파하는 등 금융시장 변동성이 확대되는 상황도 주요 리스크로 보고 대응할 예정이다.
미국의 경우 2월 물가 상승률이 7.9%로 1982년 이후 최고치를 보이는 등 주요국 인플레이션이 지속되고 있다. 이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3월 정책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하는 등 주요국 통화정책이 긴축 조짐을 보이고 있어 정부 차원 대응이 필요하다는 판단이다.
특히 인수위에서 대규모 추가 추경 편성을 추진하며 국채 발행 가능성도 시사해 여파가 미칠 가능성도 상존했다. 홍 부총리는 “국채시장은 시장 상황에 따라 시기·연물별 국채 발행물량을 조정하고 금리 변동성이 과도할 경우 한국은행과 공조 강화 등 안정화 조치도 적극 검토하겠다”고 말했다.